[씨줄날줄] 화왕산성의 기억/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화왕산성의 기억/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3-07-04 02:18
업데이트 2023-07-04 0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망우당 곽재우는 ‘홍의장군’으로 불리는 임진왜란의 명장이다. 그는 정유재란 때도 가토 기요마사 부대와 맞서 창녕 화왕산성을 지켰다.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곽재우’와 ‘화왕산성’을 동시에 치면 그야말로 수없이 많은 이름이 줄줄이 뜬다.

‘화왕입성동고록’(火旺入城同苦錄)은 ‘화왕산성에 들어가 함께 고생한 기록’이다. 화왕산성 방어에 기여했다는 700명 남짓의 이름이 실려 있다. 곽재우 후손 곽원갑이 쓰고 박윤광이 펴냈다. 앞부분 ‘용사응모록’(龍蛇應募錄)에 왜란 발발 직후를 담았고, 뒷부분 동고록에 정유재란을 다뤄 ‘창의록’(倡義錄)이라는 이름으로 묶었다. ‘용사’는 용의 해인 1592년 임진년과 뱀의 해인 1593년 계사년을 가리킨다.

동고록의 머리 부분에는 방어사 곽재우를 비롯해 종사관 성안의, 조방장 이영, 조전장 장응기, 장서기 배대유, 장무관 박효관 등이 보인다. 그런데 창녕 화왕산성에 안동과 경주는 물론 멀리 떨어진 서울 지역 인사도 등장하는 것은 뜻밖이다. 특히 당시 4도 도체찰사 류성룡과 경상도 도체찰사 이원익, 경상좌도수군절도사 이운룡이 산성에 있었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 화왕산성을 함께 지켰다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영남 남인이라는 것이다.

‘창의록’은 1734년(영조 10년) 안팎에 출간된 것으로 알려졌다. 영조는 당색과 관계없이 관직에 등용한다는 탕평책을 펴면서도 노론을 우대했다. 정치적 약자인 남인은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 자신들이 주도한 항전의 역사를 부각시켜 내부를 결속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경상좌도와 경상우도의 경계인 창녕의 화왕산성이 선택됐다는 게 역사학계의 시각이다. 박윤광은 1736년 송시열과 송준길을 문묘에 배향하려는 움직임을 반대하는 남인들의 연명 상소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시간이 흐를수록 착시 현상이 깊어지는 것이 문제다. 화왕산성에서는 실제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는데, 동고록의 등장인물 가운데 격전에서 승리한 듯 왜곡되는 현상마저 적지 않다. ‘가공의 역사’에 또 다른 ‘소설’이 더해지는 악순환은 화왕산성에 그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어떤 시대든 공적 평가가 이념, 곧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를 화왕산성 사례는 분명히 보여 주고 있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3-07-04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