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광화문 월대/임창용 논설위원

[씨줄날줄] 광화문 월대/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3-10-15 23:51
수정 2023-10-15 2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월대(月臺)는 궁궐 정문이나 중요한 전각 앞에 설치된 넓은 기단 형식의 대(臺)를 말한다. 경복궁 근정전이나 창덕궁 인정전 등의 전각 월대는 중국이나 일본의 궁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왕이 신년하례를 받거나 중요한 제례 등 왕과 신하들이 함께하는 큰 행사의 공간으로 사용됐다. 반면에 창덕궁 돈화문 월대 등 대문 앞 월대는 궁궐의 권위를 상징하면서 왕이 백성들과 소통하는 마당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에 조칙 선포나 축하공연, 공식 배급행사 등이 궁 대문 앞의 월대에서 열렸다고 한다.

대문 앞 월대는 중국이나 일본에선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왕의 권위를 내세울 수는 있겠지만 대문 앞에 계단이 있는 월대를 설치할 경우 말을 타고 통과할 수 없는 등 불편함이 커서인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에선 조선 태종 때 창건된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 앞에 처음으로 월대를 설치한 게 시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차량 진입을 위해 도로가 여러 번 포장되면서 월대 앞 지반이 높아져 오랫동안 묻히다시피 했다. 그 이후 2020년 돋은 지반을 파내 낮추는 등 대대적인 공사를 벌여 원래대로 복원했다.

덕수궁의 대한문 월대도 일제 때 철거됐다가 지난 7월 재현됐다. 1899~1900년 고종 때 설치돼 왕의 환구단이나 왕릉 행차 때 사용됐지만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도시계획 등으로 대한문이 도로 한복판에 고립되고 월대도 훼손돼 사라졌다. 그 이후 대한문은 1970년 궁 동쪽인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복원됐고, 최근에 월대까지 재현된 것이다.

15일 광화문 앞에서 ‘광화문 월대 및 현판 복원’ 기념행사가 열렸다. 경복궁 광화문 월대는 고종 연간인 1866년 조성됐다가 일제 때 훼손된 후 전차 철로와 도로로 사용되다가 이번에 원래대로 복원됐다.

일각에선 대문 앞 월대에 대해 ‘중국에 대한 사대(事大)의 상징이었다’거나 ‘말타기 기술을 퇴보시켰다’는 등 부정적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다수 전문가들은 “광화문과 월대는 하나의 세트”라며 “단절된 광화문과 그 앞 광장을 연결시켜 주는 의미가 적지 않다”고 평가한다. 복원된 광화문 월대가 국민들이 자긍심을 느끼는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
2023-10-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