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금융시장의 ‘트럼프 발작’

[씨줄날줄] 금융시장의 ‘트럼프 발작’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4-11-08 00:10
수정 2024-11-08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13년 5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인 벤 버냉키가 “시장에서 사들이는 채권 규모를 점점 줄이겠다(taper)”고 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급하는 자금을 줄이겠다는 뜻이었다. 버냉키 발언에 미 국채금리는 폭등했고 신흥국 증시는 폭락하는 등 발작(tantrum)했다. ‘긴축발작’(테이퍼 탠트럼)이란 용어의 시발이다. 기준금리 인상을 예상한 투자자들은 신흥시장에서 400억 달러의 자금을 뺀 것으로 추정됐다. 2000을 바라보던 코스피는 한 달 뒤 1800선도 무너졌다.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의 2016년 당선은 그 자체가 불확실성이었다. 대선 전후 달러당 1140원을 넘나들던 원달러 환율은 연말 1200원을 넘었다.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달러화 가치가 8년 만에 최고로 뛰었기 때문이다. 당선 이후 2주 만에 아시아 6개 신흥국 금융시장에서 110억 달러가 빠져나갔다. ‘트럼프 발작’이었다.

트럼프의 재선이 확정된 지난 6일 미 증시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나스닥 등 3대 지수 모두 장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2기의 감세 및 규제 완화 정책이 기업 활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기대해서다. 연준이 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점쳐지지만 트럼프의 확정적 재정정책, 반이민 기조 등이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금리 인하 속도는 예상보다 느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대선 개표가 시작된 6일 하루 만에 25원 이상 올라 1400원대에 머물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미 증시 활황과 강달러가 특징인 트럼프 발작의 영향은 국가별로 다를 것이다. 모두 트럼프 1기를 호되게 겪었다. 정부는 어제 금융·외환시장, 통상, 산업 등 3대 분야의 별도 회의체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의 경험에서 얼마나 배웠고 준비돼 있는지 전 세계가 경쟁하게 됐다.
2024-11-08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