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은령 한서대 아동청소년복지학 교수
다행히 현행 입시제도엔 여러 가지 다양한 전형방법이 있어서 수능성적이 나쁘더라도 대학에 갈 수 있는 길은 많다. 특별히 재능이 있거나 논술을 잘 쓰거나 봉사활동을 많이 하면 그것만으로도 대학에 갈 수 있으며, 가정형편이나 거주지역에 따라서도 대학입시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찌감치 이러한 전형방법들을 찾아 입시에 대비하는 학생들도 꽤 많다.
그러나 다양한 전형방법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 학생들의 경우, 오로지 내신과 수능에만 의존해야 하는 학생들에겐 이러한 전형방법들이 오히려 대학입학문을 더욱 좁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많은 대학들은 입학전형에서 수시의 비중을 높이고 정시에서의 선발인원 수를 줄여나감으로써 더욱 더 이들을 압박하고 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대학에서 요구하고 있는 특별한 재능이나 요건과 상관 없는 평범한 학생들이다. 이들은 그저 성실하게 학교생활을 하면서 수능준비를 한다. 이 평범한 학생들이 절망하는 것 중의 하나는, 학교생활에 충실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한 가지 능력이나 특성으로 인해 수시에 덜컥 합격해 버리는 또래들이 있다는 것이다.
영어특기생으로 대학에 가려는 친구는 교내외에서 영어 관련 공부와 활동만 하고, 영어 관련 스펙만을 쌓아 나간다. 논술로만 뽑는 대학에 들어가려는 학생은 논술준비만 하고, 사회봉사활동 우수자로 대학에 들어가려는 학생은 만사 제쳐놓고 봉사활동만 하러 다닌다. 학교생활이 전반적으로 불성실했더라도 특정 분야 스펙을 풍부하게 쌓으면 실제로 대학에 들어가기가 어렵지 않다. 다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일부에서는 정말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사실 대학에서 이들이 고등학교생활을 성실하게 했는지 걸러낼 방법도 거의 없다.
문제는 이 학생들이 대학에 무난히 합격했을 때, 평소 학교공부와 수능준비를 성실하게 했던 학생들은 매우 허탈하고 좌절하게 된다는 것이다. 심리적으로 손상을 입는 것은 물론, 가치관 형성에도 매우 큰 변화를 가져온다.
내신과 수능준비에 충실한 대부분의 보통 학생들은, 이러한 입학제도가 매우 불공평하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다양한 방법으로 수시에 합격한 학생들이 룰루랄라 놀고 있을 때, 정시에서 전쟁과도 같은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는 자신을 보면 너무 화가 나고 짜증이 난다는 것이다.
대학입시전형은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하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특히 입학사정관제도가 도입되면서 수험생들이 지닌 요소들도 보다 섬세하고 비중있게 입시에 반영될 예정이다. 지난달 발표한 서울대 입시안에서도 2011학년 입시에서 정원 내 입학사정관제 전형은 35%나 차지하고 앞으로 2, 3년 내 50% 이상 늘려 나갈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대학들도 이러한 추세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내신과 수능위주의 선발인원은 더욱 줄어든다는 얘기다.
걱정되는 것은 과연 수험생들이 입시결과에 동감하도록 입학사정관들이 학생들의 요소요소를 다 파악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입시제도가 오히려 학교현장에서 대학에 합격하는 요령만 터득하게 만들지 않을까 걱정도 된다.
대학에서 수험생들이 지닌 발전적인 잠재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학생을 선발하자는 취지는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학교생활에 대한 성실함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들의 특정요소만을 반영하여 합격 여부를 결정짓는 것은 객관적으로나 교육적으로 매우 위험한 일이다.
어떠한 경우든 성실함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대학입시에서 수험생들의 다양한 잠재적 요소들을 고려할 때 학교생활에서의 성실함은 가장 기본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문제이다. 대학입시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두 동의할 수 있는 선발전형이 되려면 수험생들의 학교생활이 성실했는지를 가장 먼저 검증해야 한다.
2010-06-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