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판 ‘리틀 포레스트’

가끔 영화는 삶이 더 아름다울 수 있다는 걸 일깨워 주곤 한다. 겨울의 황량함이 가시지 않은 2월, 그 마지막 날 개봉한 영화 ‘리틀 포레스트’가 꼭 그러했다. “이 시기만 잘 지나면 척박한 겨울 땅에도 곧 초록의 기운이 돌 것이고, 아름다리 꽃들이 수놓은 자리에 머지않아 열매가 열릴 것이야.” 해마다 이 사실을 알면서도 매서운 추위에 ‘아름다운’ 순간들을 잠시 망각하곤 한다. ‘리틀 포레스트’는 잊고 있던, 혹은 모르기도 했던 삶의 아름다운 장면들을 가득 담아냈다. 한동안 ‘리틀 포레스트 병’을 앓기도 했다. 아직 채 녹지 않은 집 앞마당 한구석을 모종삽으로 이리 헤집고 저리 뒤집어 상추며 방울토마토며 열무까지 심은 것도 다 그 탓이다. ‘크렘 브륄레 만드는 법’, ‘식용 꽃 구별법’이 포털사이트 검색 창에 이름을 올리고, ‘요리 욕구’ 샘솟은 이들의 인증샷 행렬이 한동안 SNS에 이어진 걸 보면 너도나도 ‘리틀 포레스트 병’을 앓았던 것은 확실하다. 봄기운이 완연한 4월. ‘리틀 포레스트’ 약발(?)이 다해갈 무렵,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이 ‘더’ 아름다운 삶에 대한 레시피를 전했다.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25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언론 시사회가 열렸다.

오는 5월 개봉을 앞둔 이 영화는 ‘스페니쉬 아파트먼트(L‘ Auberge Espagnole)’로 유명한 프랑스 출신 감독 세드릭 클라피쉬의 신작이다.

프랑스판 ‘리틀 포레스트’. 영화 소개에 쓰인 한 줄만으로도 충분히 기대가 모인 작품이었다.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영화의 배경이 되는 부르고뉴(Bourgogne)는 프랑스 중동부 지방에 위치, 세계 최고의 와인 명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영화는 부르고뉴 와이너리(Winery : 포도주를 만드는 양조장)에서 펼쳐지는 삼 남매 장, 줄리엣, 제레미의 인생 이야기를 그린다.

성인이 되어 고향에 모인 장과 줄리엣, 제레미 삼 남매는 아버지 유산으로 남겨진 부르고뉴 와이너리에서 처음으로 셋이 힘을 모아 최상의 와인을 만들어 간다.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와인을 만드는 과정에서 세 사람이 느끼는 가족애와 인생에 대한 가치 등은 와인의 향과 풍미만큼이나 진하게 다가온다.

파리에서 상상할 수 없는 드넓은 초록빛 세상이 펼쳐진 프랑스 부르고뉴의 모습. 소박한 시골 풍경과 사계절이 스크린에 고스란히 담겨 눈부신 장면을 연출했다. 특히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한순간도 빠짐없이 등장하는 ‘포도’는 제철도 아니건만 입에 침을 고이게 한다.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은 영화에 사계절이 다 담긴 만큼, 1년이라는 기간 동안 촬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만 꼬박 7년의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세드릭 클라피쉬 감독은 2010년 ‘와인’과 관련한 영화를 만들고자 계획했고, 출연 배우들 역시 촬영 전 부르고뉴 와이너리에서 철저한 사전 준비를 거쳤다.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공들인 시간만큼이나 영화는 탄탄하고, 흥겹다.

멋들어진 풍경과 유쾌한 삼 남매의 삶을 가만히 보고 있노라면 어느 순간 우리는 부르고뉴 한복판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그 탓에 영화를 보고 난 뒤 결국 와인 한 병을 샀다.

‘와.알.못(와인을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그간 몰랐던 더 아름다운 삶을 선물할 영화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은 오는 5월 3일 진한 포도 향과 함께 관객들을 찾을 예정이다. 113분. 15세 이상 관람가.

김혜민 기자 khm@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