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레반 반격… 발묶인 연합군

탈레반 반격… 발묶인 연합군

입력 2010-02-17 00:00
업데이트 2010-02-17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프간 마르자서 사흘째 교전

미군이 주도하는 연합군이 아프가니스탄 헬만드 주 마르자에서 대공세를 시작한 지 사흘째가 되면서 탈레반의 강력한 저항과 반격에 맞닥뜨리고 있다고 AP통신 등 외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P에 따르면 대공세 첫날인 지난 13일만 해도 산발적인 저항을 하는 데 그쳤던 탈레반이 곧 전열을 재정비하면서 전투가 한층 격렬해지고 있다. 15일 하루 동안 마르자 시내에서만 최소한 6곳에서 대규모 총격전이 벌어져 미군 무장 헬리콥터가 일일이 지상군을 근접지원해 줄 수 없을 정도였다는 것이다. 일부 연합군 부대는 하루종일 전투를 벌였는데도 해가 질 때까지 거의 한발짝도 전진할 수 없었다고 한다.

또 외신에 따르면 탈레반은 적극적인 게릴라 전술로 연합군에 맞서고 있다. 로켓과 소총, 로켓 추진 수류탄으로 무장한 소규모 탈레반 게릴라들이 곳곳에서 미군과 아프간 정부군을 공격하고 있다. 미군이 무장해제했다고 판단하는 곳에서도 야음을 틈타 몰래 침투한 뒤 미군을 배후에서 습격하기도 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마르자 주변 길가를 따라 엄청나게 매설된 폭약과 지뢰, 부비트랩 등을 통한 ‘괴롭히기 전술’도 연합군의 발목을 잡고 있다.

탈레반이 통제하고 있는 남부지역 최대 도시인 마르자의 점령을 1차 목표로 삼고 있는 연합군은 1단계 작전을 신속히 끝낸 뒤 곧바로 아프간 정부 통제 아래 구호물자 지원 등을 통해 주민들의 지지를 얻는 2단계 작전을 시행하려 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작전 과정에서 잇따라 발생하는 민간인 피해 때문에 주민들의 반감만 격해질 것이란 우려도 크다. 대공세 이틀째인 14일 미군의 로켓포 오폭으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가족 12명이 사망한 데 이어 16일에도 민간인 3명이 사살됐다.

미군과 영국군, 아프가니스탄 정부군 1만 5000명을 동원한 이번 대공세는 미군이 2001년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뒤 가장 규모가 큰 연합작전이다.

한편 뉴욕타임스(NYT)는 파키스탄정보부(ISI)와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최근 파키스탄 남부 카라치에서 탈레반 2인자인 물라 압둘 가니 바라다르를 검거했다고 16일 보도했다. 하지만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AP통신과 전화인터뷰에서 “탈레반의 사기를 꺾기 위한 선전일 뿐”이라며 NYT 보도를 일축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02-17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