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깨끗한 물쓸 권리는 인권”

유엔 “깨끗한 물쓸 권리는 인권”

입력 2010-07-30 00:00
업데이트 2010-07-30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결의안 채택… 韓·美·日 기권

유엔이 28일(현지시간) 총회에서 깨끗한 물과 공중위생에 대한 권리를 인권으로 간주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볼리비아가 제안한 결의안은 유엔 192개 회원국 가운데 122개국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중국·러시아·독일·프랑스·스페인·브라질 등 주요국과 개발도상국 대부분이 찬성표를 던졌지만 한국·미국·일본 등 41개국은 기권했다.

유엔은 결의안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와 공중위생에 대한 권리는 삶의 즐거움을 온전히 누리는 데 필수적인 인간의 권리임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또 전 세계 8억 8400만명이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지 못하고 26억명 이상이 기본적인 공중위생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페터 비틱 유엔주재 독일대사는 “해마다 200만명에 달하는 인구가 안전하지 않은 물과 열악한 공중위생으로 목숨을 잃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어린이들”이라면서 결의안 의미를 강조했다.

결의안은 2000년 합의된 새천년개발목표(MDGs)가 안전한 물과 공중위생에 접근이 불가능한 인구를 2015년까지 절반으로 줄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나아가 모든 국가와 국제기구들에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안전한 물과 공중위생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0-07-30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