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전 사망자 10만명 중 민간인 6만명”

“이라크전 사망자 10만명 중 민간인 6만명”

입력 2010-10-25 00:00
수정 2010-10-25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키리크스, 이라크전 기밀문서 40만건 공개 일파만파

미군이 은폐한 이라크 민간인 사망자 6만 6081명, 이라크인 수감자에 대한 고문·학대, 이란의 적극적인 개입….

내부 고발 전문 웹사이트 위키리크스가 23일(현지시간) 폭로한 이라크전 기밀 문건 39만 1832건의 주요 내용이다. 이라크 인권부는 “이미 알려진 내용들로 놀라울 것이 없다.”고 폄훼하면서도 “진상조사팀을 구성해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미국과 영국 정부는 “기밀문서 공개는 미군과 이라크 민간인을 위험하게 하는 행위”라는 우려와 함께 위키리크스를 비난했다. 호주 등 일부 연합군 국가들은 자국 군인들의 개입 여부를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전 세계 인권 단체와 유엔 등도 해당국에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이라크전의 ‘불편한 진실’에 대한 파장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더욱이 위키리크스는 민감한 내용 때문에 공개를 미뤄 왔던 1만 5000건 이상의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관련된 문서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美 역사상 최대 유출사건

위키리크스 창립자 줄리언 어샌지는 “이라크 전쟁의 진실에 관한 것”이라면서 “진실에 대한 왜곡이 바로잡히길 희망한다.”며 공개 배경을 설명했다. 반면 뉴욕타임스, BBC, 가디언 등 외신들은 “미 역사상 최대의 기밀 문건 유출사건”으로 평가했다.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이라크전 문건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미군이 지금껏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 없는 민간인 사망자 수다. 해당 기간 동안 사망자는 모두 10만 9000명, 이 중 66%인 6만 6081명이 민간인이다. 6·25전쟁 이후 되풀이돼온 ‘전쟁에서는 민간인이 더 위험하다.’는 속설이 현대 전쟁에서도 유효하다는 점이 입증된 셈이다. 2005년 8월 말 바그다드 공습 때 다리 위로 민간인이 몰려들면서 950명이 한꺼번에 숨진 데다 2007년 시리아 접경지역에서는 트럭 폭탄테러로 500명 이상이 희생됐다.

민간인 사망의 원인에는 이라크인들의 내부 갈등과 고질적인 ‘분파 청소’도 크게 작용했다. AP통신은 “미 국방부는 지난해 7월 민간인 분류 없이 전체 사망자가 7만 6939명이라는 비공식 집계를 내놓은 적이 있다.”면서 “의도적으로 축소·은폐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미군이 ‘적’으로 분류한 이라크인 사망은 2만 3984명, 이라크 군경은 1만 5196명이었다. 연합군은 3771명이 숨졌다는 것이다. 문건에는 투항할 의사를 밝힌 반군을 사살하거나 미군끼리, 연합군끼리 오인사격해 죽거나 부상을 입은 사실도 들어 있다.

●고문·학대 일삼아… 진상조사 촉구

이라크 군경은 이라크인 수감자에게 구타, 불고문, 채찍질, 전기고문, 성폭행 등을 일삼았다. 인권유린에 대한 보고만도 수백건에 달했다. 때문에 수감자 가운데 적어도 6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미국 당국은 학대 행위에 대한 보고를 받고도 조사하지 않고 묵인했으며, 일부 미군들도 수감자를 학대했다는 게 문건의 내용이다. 수감자의 이마에 욕이나 조롱하는 문구를 쓰거나 손가락을 자른 뒤 산성용액을 붓는 ‘엽기적인 행각’도 제시됐다. 뉴욕타임스는 “미군은 소속 병사들이 직접적으로 학대하지 않았다면 상부 지시가 있을 때까지 조사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있다.”고 보도했다. 위키리크스는 ‘이란이 이라크 반군에 로켓, 폭탄, 소총 등 갖가지 무기를 공급해 전쟁에 개입했다.’는 문건도 폭로했다.

한편 만프레드 노박 유엔 고문특별보고관은 BBC에서 “이라크 주둔 미군의 인권 남용 사례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영국 인권단체들은 “문건에 담긴 사망자 중 일부는 영국군과 관련이 있다.”며 영국군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0-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