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북한이 권력공백이나 혼란 사태에 빠질 경우 그것은 즉각적으로 한국의 안보에 위협과 도전, 또는 기회가 된다. 미국과 중국의 개입과 충돌도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다. 이런 예측불허의 시점에 유엔 수장이 한국인이라는 사실은 우리 입장에서 든든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유엔 사무총장은 특정국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사람이 아니라 192개 회원국 전체를 대표하는 자리이지만,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적어도 한국에 불리한 의사결정은 내리지 않을 것이란 기대가 가능하다.
●北 혼란 때 한국인 유엔수장 중요역할
이는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소련이 유엔 안보리의 유엔군 파병 결의를 거부했더라면 한국의 운명이 지금 어떻게 됐을까를 상상해보기만 해도 짐작할 수 있다. 반 총장의 연임을 확정짓는 유엔총회 날짜가 한국전쟁 61주년을 불과 나흘 앞둔 21일이라는 점도 한국인 입장에서는 운명적 느낌을 받을 만하다.
급변사태가 아니더라도 반 총장은 앞으로의 5년 동안 남북문제 해결을 위해 1기에 비해 더 힘쓸 것으로 보인다. 남북관계가 최악의 교착상태를 보이고 있는데다 반 총장으로서도 마지막으로 조국에 기여하고 싶은 심정을 가질 법하기 때문이다. 실제 반 총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을 방문하는 등 한반도 평화를 위해 나름대로 이바지하고 싶다는 심경을 피력한 바 있다. 반 총장의 개인적 ‘캘린더’에 사무총장 퇴임 1년 뒤 치러지는 한국의 차차기 대선이 적혀 있다면, 더더욱 남북문제에서 업적을 쌓고 싶은 의욕이 생길 법하다.
●여성 지위·핵 문제 등 박차 가할 듯
한반도 문제 외에 반 총장의 임기 2기는 1기 때 뿌려놓은 여러 국제적 과제들의 결실을 추수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될 것이다. 반 총장은 이미 평화, 안정, 개발, 인권 등 4개 테마를 2기 중점과제로 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여성 지위 향상, 핵 없는 세상, 대규모 재난과 분쟁 발생시 유엔의 인도적 지원 능력 제고 등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지구온난화와 지속가능한 개발 등 환경 문제에서도 가시적 성과가 나와야 하고, 유엔 내부 개혁도 마무리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반 총장의 성향상 재선됐다고 해서 지나치게 튀는 행보를 보이지는 않을 것 같다. 그래도 2기는 1기에 비해 재선의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 1기 때보다 더 과감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낼 가능성은 다분하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6-18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