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크’ 포르투갈

‘정크’ 포르투갈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디스, 국가 신용 전망도 “부정적”… 스페인도 위험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5일(현지시간) 포르투갈의 국가신용등급을 정크(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깎아내렸다. 무디스는 포르투갈의 장기국채 신용등급을 기존의 ‘Baa1’에서 4단계 낮은 ‘Ba2’로 하향 조정했다. 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제시해 추가로 강등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B aa1→Ba2 4단계 하락

무디스는 성명을 통해 “포르투갈이 두 번째 구제금융을 요청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무디스는 “포르투갈이 정부 지출 축소와 증세, 경제 성장, 금융시스템 지원 등에 가공할 만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으며 합의한 재정적자 감축과 부채 안정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포르투갈은 그리스와 아일랜드에 이어 유로존에서 구제금융을 신청한 세 번째 국가로, 지난 4월 EU와 IMF로부터 780억 유로(약 11조 9900억원)의 구제금융 지원이 결정됐다.

피치도 지난 4월 포르투갈의 신용등급을 ‘A-’에서 ‘BBB-’로 3단계 하향 조정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 3월 포르투갈의 신용등급을 ‘BBB-’로 낮췄다. ‘BBB-’는 투자 등급의 최저선이다.

문제는 다른 국가로의 전이 가능성이다. 아일랜드도 추가 구제금융을 신청할 가능성이 크고,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신용등급도 추가로 강등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디시전이코노믹스의 캐리 레이 이코노미스트는 “등급 하향 조정은 가장 약한 것에서 덜 약한 것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포르투갈의 강등은 분명히 부정적인 신호”라면서 “시장은 이제 ‘다음은 스페인이냐’고 묻기 시작했고 유로존 전체로 확산될 조짐”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럽 지도자들은 신용평가사들의 잇단 남유럽국가 신용등급 강등이 재정위기에 혼란만 부추긴다며 분노를 토해냈다.

●유럽 “잇단 강등 재정위기 부추겨”

6일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회견을 연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신용평가사들의 과점을 끊고, 영향력을 제한해야 한다.”면서 “평가가 무엇에 근거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표했다. 스타브로스 람브리디니스 그리스 외무장관도 “신용평가사들이 안 그래도 어려운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면서 강등 행위를 ‘미친짓’(madness)이라고까지 일컬으며 격분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7-07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