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의 전설’ R.E.M. 31년 만에 해체

‘록의 전설’ R.E.M. 31년 만에 해체

입력 2011-09-22 00:00
업데이트 2011-09-22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설적인 미국 록밴드 R.E.M.이 결성 31년 만에 해체를 선언했다.

R.E.M.은 21일(현지시각) 공식 웹사이트에서 “밴드로서 끝을 내기로 했다”면서 “우리 음악에 감동한 사람들에게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밝혔다고 BBC방송 인터넷판이 전했다.

싱어인 마이클 스타이프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는 것을 팬들이 알아줬으면 한다. 모든 것은 끝이 있는 법이고 우리는 우리 방식대로 제대로 끝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R.E.M.은 지난 1980년 마이클 스타이프와 기타리스트 피터 벅, 베이시스트 마이크 밀스, 드러머 빌 베리 등 4명으로 결성됐다.

이 밴드는 ‘아웃 오브 타임(Out of Time)’, ‘오토매틱 포 더 피플(Automatic for the People)’ 같은 앨범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1990년대 스타덤에 올랐다.

1990년대 R.E.M.이 발표한 앨범 가운데 3장은 미국에서 400만장 이상 팔린 ‘쿼드러플 플래티넘’으로 기록됐다.

1991년 미 얼터너티브 차트 정상을 차지한 대표곡 ‘루징 마이 릴리전(Losing My Religion)’이 수록된 앨범 ‘몬스터(Monster)’는 상업적으로 가장 큰 성공을 거뒀다.

이들은 이듬해인 1992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3개 부문을 휩쓸었다.

R.E.M.의 최근작은 지난 3월 나온 ‘컬랩스 인투 나우(Collapse into Now)’로 15번째 정규 스튜디오 앨범이었다.

R.E.M.은 자신들의 음악과 영향력을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파하는 데 자주 이용하곤 했고, 지난 2007년에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오토매틱 포 더 피플’에 수록된 ‘에브리바디 허츠(Everybody Hurts)’는 ‘포기하지 말라(don’t give up)’는 메시지를 담아 자살 방지 캠페인에 쓰이는가 하면 최근에는 아이티 대지진 후에도 널리 사랑받았다.

이들은 2009년 다른 밴드와 함께 쿠바에 있는 미군의 관타나모 기지를 폐쇄하자는 캠페인에도 참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