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유산 사랑 각별했던 故 박병선박사

우리 문화유산 사랑 각별했던 故 박병선박사

입력 2011-11-23 00:00
수정 2011-11-23 1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규장각 반환운동 불지핀 인물…직지 첫 발견해 ‘직지대모’ 별명도

프랑스 파리에서 22일 밤(한국시간 23일 오전) 타계한 고(故) 박병선 박사(83·여)는 우리 문화유산을 끔찍이 사랑한 역사학자로 통한다.



1972년 프랑스국립도서관(BNF)에서 사서로 근무할 당시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을 처음으로 발견한 데 이어, 1979년에는 병인양요 때 약탈당한 외규장각 도서도 발견해 반환 운동에 불을 지핀 인물이다.

박 박사는 직지심체요절이 1455년판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78년 빠른 금속활자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직지 대모(代母)’라는 별명도 얻었다.

박 박사는 그동안 각 매체와 인터뷰할 때마다 1980년 BNF를 그만두고 나서 10여 년 간 매일 BNF에 출근하다시피 하면서 외규장각 도서를 열람, 목차와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서 반드시 국내로 반환시켜야 한다는 의지를 다졌다고 말해왔다.

수녀를 꿈꿨던 박 박사는 진명여고와 서울대 사범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한 뒤 1955년 프랑스로 유학을 갔다. 박 박사는 우리나라 민간인 여성 가운데 처음으로 프랑스 유학 비자를 받은 사례로 알려져 있다.

이후 박 박사는 프랑스 소르본학과 프랑스고등교육원에서 역사학과 종교학으로 박사 과정까지 밟은 뒤 1967년 BNF에 들어가 13년간 근무하면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실증 연구를 본격 시작했다.

박 박사는 지난 4-5월 외규장각 도서가 프랑스 사정에 의해 ‘반환’이 아닌 ‘대여’ 형식으로 우리나라에 돌아온 것에 대해서도 “잘못된 일”이라며 “하루빨리 대여를 반환으로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을 정도로 우리 문화재에 대한 사랑이 각별했다.

박 박사는 작년 1월 한국에서 직장암 수술을 받고도 10개월 만에 프랑스로 되돌아와 최근까지 프랑스가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해간 계기가 된 병인양요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며 저술을 준비해왔다.

박 박사는 ‘병인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노하다’의 속편을 준비하다 병세가 악화되자 조카를 비롯한 지인들에게 “내가 직접 출간하려고 했는데 아쉽다”면서 “병인양요 속편을 꼭 마무리지어 달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겼다.

유족들에 따르면, 결혼을 하지 않아 직계 가족이 없는 박 박사는 평소 다른 사람들에게 폐가 된다며 자신이 죽으면 화장해 프랑스 북부 해안 노르망디 바다에 뿌려달라고 당부했다.

박 박사는 지난 9월 외규장각 도서 반환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으나, 그동안 병세가 호전되지 못해 전달받지 못했다.

박 박사는 병세가 갑자기 나빠져 파리 15구 잔 가르니에 병원에 입원한 직후인 지난달 25일 주불대사관 측이 전달한 훈장을 전수받은 뒤 의식이 가물가물한 상태에서도 눈물을 보였다고 유족들이 전했다.

유족들은 박 박사가 천주교 신자인 점을 감안, 천주교 식으로 장례를 치를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박 박사가 1967년 동백림 사건에 연루된 이후 프랑스로 귀화했지만 그동안의 국가적 공로를 인정해 국립묘지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