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해외 군사기지를 보유하게 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인도양 서쪽에 위치한 아프리카 동부의 섬나라 세이셸공화국이 중국의 첫 번째 해외 군사기지 건설 예포지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장폴 아담 세이셸 외무장관이 지난 2일(현지시간) “해적 대응태세 강화를 위해 마헤 섬에 군사기지를 세워 달라고 중국 정부에 이미 공식요청했다.”고 말했다고 홍콩의 봉황위성TV 등이 4일 보도했다. 중국 국방부장으로는 처음으로 량광례(梁光烈)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이 40여명의 대표단을 이끌고 1일부터 이날까지 세이셸을 공식 방문한 것도 군사기지 건설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면적 450㎢, 인구 8만 5000명의 소국인 세이셸은 해적이 들끓고 있는 소말리아와 마주보고 있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세이셸에 군사기지 건설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일단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08년 말부터 아덴만에 해적퇴치 함대를 파견하고 있다. 파견부대 병력의 휴식과 함정 정비, 보급 등의 필요성을 내세운다면 미국 등의 반발을 선제적으로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이미 미국이 세이셸에 무인정찰기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중국의 부담을 덜어 주는 대목이다.
중국이 세이셸에 군사기지를 건설한다면 의미는 적지 않다. 대양 해군을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다. 실제 강경파 군사전문 블로거들은 “해외에 병력을 주둔시켜 미국에 반격해야 한다.”며 반기고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면적 450㎢, 인구 8만 5000명의 소국인 세이셸은 해적이 들끓고 있는 소말리아와 마주보고 있다. 중국이 적극적으로 세이셸에 군사기지 건설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일단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08년 말부터 아덴만에 해적퇴치 함대를 파견하고 있다. 파견부대 병력의 휴식과 함정 정비, 보급 등의 필요성을 내세운다면 미국 등의 반발을 선제적으로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이미 미국이 세이셸에 무인정찰기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중국의 부담을 덜어 주는 대목이다.
중국이 세이셸에 군사기지를 건설한다면 의미는 적지 않다. 대양 해군을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다. 실제 강경파 군사전문 블로거들은 “해외에 병력을 주둔시켜 미국에 반격해야 한다.”며 반기고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2-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