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외무성 주변 ‘일본군 위안부’ 시위 좌우 대립

日외무성 주변 ‘일본군 위안부’ 시위 좌우 대립

입력 2011-12-14 00:00
업데이트 2011-12-14 16: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1천번째 수요 시위가 열린 데 호응해 일본 등 세계 각지의 일본 외교공관 주변에서도 집회와 시위가 잇따랐다.

14일 낮 12시께 일본 도쿄 가스미가세키(霞が關)의 외무성 주변에선 일본 정부의 사죄·배상을 요구하는 시민단체 회원들과 이에 반대하는 우익단체가 동시에 시위를 벌였다.

시민단체들의 모임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 행동 2010’은 이날 일본 전국에서 모인 1천300명으로 외무성 주변을 둘러쌌다.

이들은 집회에서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을 인정·사과하고 한국의 외교 협의 요구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참석자 중 다나카 에이코(田中榮子.72.여) 씨는 “일본은 우선 학교에서 (위안부 강제동원이라는) 역사적인 사실을 가르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핫토리 료이치(服部良一) 사회민주당 의원은 연합뉴스 기자에게 “일본은 과거 아시아여성기금이라는 민간 기금을 통한 금전 지급을 제의한 적이 있지만, 이는 일본 정부의 사죄가 빠져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며 “피해자들이 단순히 돈을 달라고 하는 게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외무성 앞 도로 건너편 인도에는 ‘힘내라 일본 전국행동위원회’ 등 우익단체 회원 1천여명이 모여 “강제연행은 없었고, 위안부들은 단순한 매춘부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의 사죄를 요구하는 이들 중 상당수가 60대 이상 고령인 반면, 그럴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 중에는 30∼40대가 다수 눈에 띄었다.

이들은 손에 한글로 ‘위안부=성노예라는 거짓말을 그만해라’라거나 ‘수요 시위에 가담하는 반일 일본인들을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쓴 피켓을 들고 있었고, 일부는 경찰의 저지를 뚫고 길을 건너가 시민단체 회원들과 충돌을 일으키려고 했다.

우익 시위대 중 한 명은 “일본군이 위안부 모집에 관여했다고 하지만 강제 동원한 적은 없고, 1965년 청구권협정으로 이미 해결했다”며 “미군이나 한국 군대도 위안소를 운영하는데 왜 일본만 사죄를 해야 하느냐”라고 주장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 행동 2010’에 따르면 이날 도쿄 외에도 홋카이도(北海道) 삿포로(札晃)시와 가나가와(神奈川)현, 오키나와(沖繩) 등 일본 내 13개 지역에서 집회와 시위가 있었다.

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5일부터 17일까지 미국에서 뉴욕, 워싱턴, 로스앤젤레스 등 6개 도시, 독일에서 베를린, 뮌헨 등 14개 도시,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 대만, 필리핀 등 전 세계 8개국(한국 제외) 42개 도시에서 총 46회 집회가 열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