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유방보형물 삽입 후 암 진단’ 20건으로 늘어

‘佛유방보형물 삽입 후 암 진단’ 20건으로 늘어

입력 2011-12-31 00:00
수정 2011-12-31 08: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건 당국 “보형물과 암 상관관계 아직 입증 안돼”

‘발암 우려’가 제기된 프랑스제 무허가 성형보형물로 가슴 수술을 받은 후 암 진단을 받은 사례가 추가로 확인됐다.

프랑스 의약품 규제 당국인 AFSSAPS는 성형보형물 제조 기업 폴리앵플랑프로테스(PIP)가 제조한 실리콘 유방보형물을 삽입한 후 암 진단을 받은 사례가 지난 28일 현재 20건으로 파악됐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지난 21일 당국의 발표에서 암 환자수는 8명이었다.

지금까지 확인된 암 확진 사례 20건 가운데 유방암(유방선암)이 15건으로 가장 많고 유방 림프종과 폐암, 급성골수성백혈병이 각 1건, 다른 림프종이 2건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삽입한 보형물이 내부에서 파열되거나 염증을 일으킨 경우가 각각 1천143건과 495건 접수됐다.

프랑스 보건 당국은 문제의 보형물이 의료용으로 허가 받지 않은 저질·무허가 제품이기는 하지만 이 보형물과 암 발생 사이에 상관 관계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보형물은 남미와 서유럽 중심으로 전세계 65개국에 수출돼 30만~40만명에게 이식된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지난해 4월 PIP가 무허가 유방보형물을 제조한 사실을 확인하고 공장 폐쇄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PIP의 대표 장-클로드 마는 자녀들 명의로 보형물 제조업을 재개하려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현지 일간 니스마르탱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 6월 마의 20대 자녀 2명이 보형물 업체 프랑스앵플랑테크놀로지(FIT)를 설립한다고 신고했으며, 마는 이 회사의 기술·상업고문으로 등재돼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