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및 화장품 업체들이 글로벌 경기침체에 아랑곳하지 않고 올 상반기 두자릿수 매출 신장세를 기록했다.
루이뷔통, 크리스찬 디오르, 불가리 등 다수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의 LVMH 그룹의 올 상반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상승해 130억유로(18조원)를 기록했다.
LVMH 측은 특히 아시아와 미국에서의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브랜드들이 급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룹을 이끌어 온 루이뷔통은 지난해보다 17% 증가한 47억유로(6조5천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불가리 등 시계와 보석 부문은 87% 성장했다.
구찌와 이브생로랑, 보테가 베네타, 발렌시아 등의 유명 상표를 소유한 PPR 그룹의 상반기 매출은 16.7% 늘어난 64억유로(9조원)였다.
스포츠와 생활캐주얼 부문은 부진했지만 명품 판매량이 급등한 것이 주된 성장 요인으로 작용했다.
스포츠 및 생활캐주얼웨어 판매량은 9.2% 감소했다.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푸마의 경우 수입이 10.7% 줄었다.
반면 명품 부문은 작년보다 판매량을 30.7% 높이며 경제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위용을 과시했다.
세계 최대 화장품 회사인 로레알은 상반기 10.5% 성장세를 보여 112억유로(15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러한 호황은 업계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실적이다. 업체 관계자들은 이런 추세가 올 하반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연합뉴스
루이뷔통, 크리스찬 디오르, 불가리 등 다수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의 LVMH 그룹의 올 상반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상승해 130억유로(18조원)를 기록했다.
LVMH 측은 특히 아시아와 미국에서의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브랜드들이 급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룹을 이끌어 온 루이뷔통은 지난해보다 17% 증가한 47억유로(6조5천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불가리 등 시계와 보석 부문은 87% 성장했다.
구찌와 이브생로랑, 보테가 베네타, 발렌시아 등의 유명 상표를 소유한 PPR 그룹의 상반기 매출은 16.7% 늘어난 64억유로(9조원)였다.
스포츠와 생활캐주얼 부문은 부진했지만 명품 판매량이 급등한 것이 주된 성장 요인으로 작용했다.
스포츠 및 생활캐주얼웨어 판매량은 9.2% 감소했다.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푸마의 경우 수입이 10.7% 줄었다.
반면 명품 부문은 작년보다 판매량을 30.7% 높이며 경제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위용을 과시했다.
세계 최대 화장품 회사인 로레알은 상반기 10.5% 성장세를 보여 112억유로(15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러한 호황은 업계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실적이다. 업체 관계자들은 이런 추세가 올 하반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