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인 범죄자 강제송환…방미 시진핑에 ‘선물’

미국, 중국인 범죄자 강제송환…방미 시진핑에 ‘선물’

입력 2015-09-24 16:12
업데이트 2015-09-24 16: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정부가 또다시 중국인 범죄자를 중국으로 강제송환했다.

중국공산당의 사정·감찰 총괄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는 24일 홈페이지를 통해 2001년 미국으로 도피했던 횡령·뇌물수수 혐의자 쾅완팡(<廣+우부방>婉芳·48·여) 씨가 중국으로 강제송환됐다고 발표했다.

중국당국은 쾅 씨의 강제송환은 중국의 중앙 반부패 기관과 사법·집법·외교 기관 등이 미국과 긴밀하게 협력한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광둥(廣東)성 출신인 쾅 씨가 광둥성 기관에서 전면적인 조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쾅 씨의 혐의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은 지난 18일에도 횡령·뇌물수수 혐의를 받는 원저우(溫州) 출신의 양진쥔(楊進軍·57) 씨를 처음으로 중국에 강제송환한 바 있다.

미국의 이러한 조치는 수년째 국외 도피사범에 대한 집중적인 검거작전을 전개하는 시진핑(習近平) 체제에 기대감을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범죄인 인도조약이 체결돼 있지 않은 미국, 캐나다 등이 중국의 부패관료와 부패 기업인 등이 가장 선호하는 도피처로 이용돼왔다고 주장해왔다.

양국은 지난해 11월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통과된 ‘반부패 선언’ 등을 계기로 도피 범죄자 수사를 위해 협력하기로 한 바 있지만, 중국의 사법제도를 불신하는 미국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협력할지는 두고 볼 일이라는 부정적 관측도 많았다.

이에 따라 미국의 잇따른 범죄인 인도 조치는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첫 미국 국빈 방문길에 나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선물’을 안긴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