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스마트폰 빠져들자 마약 줄었다’…美 상관관계 주목

‘청소년 스마트폰 빠져들자 마약 줄었다’…美 상관관계 주목

입력 2017-03-15 10:30
업데이트 2017-03-15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폰도 마약투약 때와 비슷한 자극”…美약물남용연구소 본격 연구

미국의 학자들이 마약과 스마트폰의 관계를 파헤치기 시작했다.

미국에서 합성 마약을 구하기 쉬워지고 마리화나(대마초)는 대중화됐다시피 할 정도인데 10대 청소년, 특히 고교생의 마약 사용은 지난 10년 사이에 꾸준히 줄어든 기현상을 접하면서다.

일부 전문가는 지난 10년이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와 겹친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간) 전했다.

‘태블릿 컴퓨터와 스마트폰으로도 감각을 자극받고 쾌락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마약으로부터 옮겨갔는가’가 이들이 던지는 질문이다.

마 국립약물남용연구소(NIDA)의 노라 볼코우 소장은 이런 가설이 설득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스마트폰은 감각추구, 의존성 등 마약을 투약했을 때와 비슷한 자극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볼코우 소장은 4월 중 전문가 토론회를 하고, 몇 달 안에 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미 고교생과 대학생의 약물사용에 대한 연례조사인 ‘모니터링 더 퓨처’에 따르면 지난해 미 고교 8, 10, 12학년생의 마리화나를 제외한 마약 사용이 40년 이래 최저로 떨어졌다.

마리화나는 미국의 여러 주에서 술·담배와 마찬가지로 의료·오락용으로 용인되고 있는데도 10년 동안 사용률이 계속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고교 마지막 학년인 12학년생들의 마리화나 사용이 늘었긴 했지만, 엑스터시, 크랙, 코카인 등 다른 모든 마약 사용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볼코우 소장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미디어’가 마약의 대용품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에 대해 약물남용 전문가인 컬럼비아대 실비아 마틴즈 박사도 “충분히 타당성이 있는 주장”이라며 “비디오게임이나 소셜미디어를 하는 게 감각추구의 필요성을 충족시켜 준다”는 주장을 폈다.

다만 이에 대한 과학적 입증은 필요하다고 마틴즈 박사는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