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 선방…1분기 GDP 6.9% 1년반만에 최고치

중국경제 선방…1분기 GDP 6.9% 1년반만에 최고치

입력 2017-04-17 11:24
업데이트 2017-04-17 15: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3월 산업생산 7.6% 늘며 호조…조강 생산량 사상 최대지표 개선에도 하반기 성장둔화 전망…전문가들 “위험 여전”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예상을 웃도는 6.9%를 기록하며 중국경제의 반등 조짐을 보여줬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GDP가 18조68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보다 6.9% 늘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는 2015년 3분기 6.9%를 기록한 이후 1년 반 만에 최고치로,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6.8%)도 상회했다. 작년 4분기와 작년 전체 GDP 성장률인 6.8%와 6.7%도 모두 웃돌았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등 2차 산업이 6.4% 성장했고, 1차 농림어업 3.0%, 3차 서비스 산업이 7.7%로 서비스 내수시장이 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1분기 도시지역 고정자산투자(FAI)가 시장예상치(8.8%)를 상회하는 9.2% 증가세를 기록하며 예상을 넘어선 성장을 견인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들어 인프라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중국의 3월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6% 늘어 시장예상치(6.3%)를 크게 웃돌았다.

이 기간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1.8% 늘어난 7천200만t으로, 하루 232만3천t에 달해 월간 기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중국 철강업체들은 지난달 중순부터 인프라 투자와 부동산 건설이 수요를 견인하면서 철강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이익을 봤다.

같은 기간 중국의 석탄 생산량도 정부가 올해 가격이 어느 정도 범위안에서 머무르면, 광범위한 규제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1~2월에 비해 12.6% 반등했다. 하루 석탄 생산량은 967만 t으로 작년 12월 이후 최대로 확대됐다.

3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해 역시 시장예상치(9.7%)를 웃돌았다. 내수소비의 GDP 증가율도 77.2%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의 3월 신규주택 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18% 늘어난 1조 위안에 달했다. 1~2월에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했던 데 비하면 증가속도는 떨어졌지만, 활황세를 유지했다.

중국이 대분류한 41개 산업 가운데 33개 업종이 성장세를 유지했다. 컴퓨터·통신전자설비 제조업 16.1%, 자동차제조업 12.3%, 일반 설비제조업 10.6%, 발전난방 생산업 10.0%, 전기기자재 제조업 9.0%, 식품가공업 7.7% 등의 성장세를 보였고 금속가공업이나 섬유방직 분야는 저조했다.

아울러 산업기업의 수출 거래액은 1조73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명목상 12.9% 증가했다.

국가통계국은 “1분기 경제가 안정 속에 호전되는 추세를 유지하며 성장 속도가 다소 반등했다”고 평가한 뒤 “구조조정의 지속 추진과 혁신 가속화, 민생개선 실효 등 적극적 요인들이 누적되며 경제운영이 양호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신용과 인프라 투자 확대, 부동산 시장 붐을 통해 중국경제를 부양하고 있어 상반기까지는 성장 속도가 유지될 수 있지만, 하반기에는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IHS마킷 브라이언 잭슨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하반기에 성장 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상반기에 성장세를 쌓아놓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메르츠방크 저우하오 이코노미스트는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됐지만 위험은 여전하다”면서 “신용이 영원히 12%씩 증가할 수는 없다”고 전망했다.

소시에테제네랄 클라우스 바더 CIB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중국의 GDP 성장률은 꽤 빨리 둔화할 수 있다”면서 “이미 서서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