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관계자 분석…실험 거듭하며 기술 진화 효과도 거둬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계속하는 것은 자신들이 ‘만만찮은’(serious) 존재임을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 각인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미 정부 내에서 나왔다.2일(현지시간) NBC뉴스는 두 명의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최근 실패 여부와 관계없이 미사일을 ‘던지다시피’하며 시험 발사 빈도를 늘리는 이유를 이같이 해석했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돼 공식 취임할 때까지는 한차례도 없던 시험 발사가 취임식 이후 급증했다는 점에서도 북한의 도발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자신들이 만만치 않은 존재임을 일깨우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와 1~4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 횟수는 총 5차례이나 올해는 10차례에 이른다.
특히 지난달 28일 평안남도 북창에서 발사 직후 폭발한 ‘K-17’ 추정 탄도미사일의 경우, 북한 정권이 아직 준비가 덜 됐다는 사실을 알면서 발사를 강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 정부의 한 관계자는 “자신들이 할 수 있다고 보여주려 한 것 같다”면서 또 북한 당국이 “실험 때마다 새로운 사실을 배운다고 믿는 듯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북한의 최신식 미사일인 무수단은 지난해 6번의 실패 끝에 결함을 보완해 발사에 성공하는 등 발사 횟수를 거듭할수록 북한의 미사일 개발 기술이 진화하는 모양새다.
지난해 1~4월 발사한 미사일 5발은 모두 실패했으나 올해 같은 기간 발사한 10발 중 최소 5발은 성공했다.
또 지난 2월 12일 발사한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은 기술적으로 신기원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