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김정은 등 독재자 두둔논란…“美국가이미지에 먹칠” 비판

트럼프,김정은 등 독재자 두둔논란…“美국가이미지에 먹칠” 비판

입력 2017-05-03 15:50
업데이트 2017-05-03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북한 김정은 등 일부 독재자들을 두둔하고 나서면서 그동안 인권과 민주주의 수호자임을 자처하던 미국의 국가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이후 아직까지 일관된 외교정책을 확립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관측 속에서도 그가 독재자들에게 추파를 던지는 것으로 비쳐지면서 외부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NBC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20만명을 강제수용소에 잡아두고 있는 김정은을 ‘영리한 녀석(Smart cookie)’이라며 호감을 보이는 등 독재자들에 대한 우호적인 행보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마약상들을 무참히 살해한 행위를 자랑하듯 떠벌리고 자경단원들에게도 살인을 부추긴다는 비난을 받는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초청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언론인 살해를 배후에서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강한 지도자’로 지칭하면서 미국 역시 많은 살인을 저지른다고 주장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자신의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의 개헌 국민투표에서 승리하자 축하 전화를 건 데 대해서도 거센 비판을 받았다.

반체제 인사 탄압을 주도한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발언을 한 것 역시 마찬가지다.

상황이 이런데도 미 백악관 측은 아무런 해명도 내놓지 않고 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김정은을 두둔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애써 감싸면서 그가 국가 원수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라인스 프리버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역시 두테르테 대통령에 대한 트럼프의 우호적인 발언이 북한을 겨냥한 압력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둘러댔다가 빈축을 샀다.

존 맥로린 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대행은 NBC방송에 트럼프 대통령이 두테르테를 초청한 것은 인권 신장을 기여한 오랜 미국의 관행과 대외정책에서 벗어난 것이라면서 “우리가 인권문제에 큰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 세계 다른 국가들에게 전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맥로린은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지도자들의 힘과 권한을 과도할 만큼 긍정 평가하면서도 그들이 행사하는 권력의 이면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독재자들을 두둔하면서 전 세계 인권과 민주주의의 수호자라는 미국의 오랜 위상을 내팽개치는 잘못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CR)의 워싱턴 지부장 새러 마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법의 지배를 훼손하고 있다며 동맹국들과 적들에게 인권이 미국 외교정책의 핵심이 아니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