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6월 금리인상 확률 100%…그 이후는?

美연준 6월 금리인상 확률 100%…그 이후는?

입력 2017-05-31 14:28
업데이트 2017-05-31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6월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된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 투자자들의 관심이 그다음 인상은 언제인지에 쏠리고 있다.

31일 블룸버그 집계를 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6월 기준금리 인상확률은 100%까지 치솟았다.

CME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6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93.5%다. 금리 인상 가능성이 50% 이상이면, 시장이 금리 인상을 더 유력하게 보고 있다는 뜻이다.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30일(현지시간) 기준금리가 조만간 현재 수준보다 인상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해 다음 달 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뉴욕경영학협회 연설에서 “곧 부양조처를 추가로 철회하는 게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는 게 합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 투자자들의 관심은 6월 이후 금리 인상 경로로 쏠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6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뒤 그 이후에는 기준금리 인상을 미룰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당초 올해 3차례 기준금리 인상 계획에 따라 3월, 6월, 9월 인상이 유력했는데, 미국 의회에서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증액이 늦어진다면 금융시장이 불안해져 9월 인상이 미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25일 정부의 부채 한도를 19조9천억 달러로 늘리는 내용의 부채한도증액법안을 오는 8월 하절기 휴회 이전까지 의회에서 처리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미국 연방 부채한도 증액안과 정부 지출 예산안은 오는 10월 1일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까지 의회를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백악관과 의회의 대치로 이 과정이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초 트위터에 “우리나라는 난장판을 정리하려면 오는 9월 ‘선의의 셧다운(good shutdown)’이 필요하다”고 말해 예측 불가능한 새 행정부의 기조를 방증했다.

연준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 계획을 바꿔왔다. 연준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 인상을 계획했다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가능성에 철회한 바 있다. 연준은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까지 금리 인상을 미루기도 했다.

연준은 다음달 15일(한국시간)과 7월 27일, 9월 21일, 11월 2일과 12월 15일에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