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름밤의 범죄’ 모기는 범인을 알고 있다?

‘한 여름밤의 범죄’ 모기는 범인을 알고 있다?

입력 2017-06-23 11:33
업데이트 2017-06-23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기가 빤 피 분석, 흡혈 이틀 후까지 개인 특정 가능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여름밤에 발생하는 범행의 경우 이 속담에 모기를 추가해야 할지 모른다.

사건 현장을 날아다니는 모기가 흡입한 피를 분석해 범인을 특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모기가 흡입한 혈액에서 결정적인 증거를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나고야(名古屋)대학 연구팀은 모기가 빨아들인 피에서 흡혈 이틀 후까지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는 논문을 최근 미국 과학 전문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민간업체 연구소와 공동으로 알 단계에서부터 사육한 보통 홍모기와 줄무늬모기를 이용해 실험했다.

2종류의 모기에게 사람의 피를 빨도록 한 뒤 흡혈 직후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72시간 후까지 모기의 체내에 남은 2~4마이크로리터 정도의 혈액에서 DNA를 감정했다. 혈액이 소화되는 상황을 토대로 모기에 물린 40~50대 남자 7명의 결과를 분석했다.

범죄수사에도 이용되는 키트를 이용해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DNA 상의 특징적으로 반복되는 15곳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흡혈 후 12시간까지 15곳 모두에서 판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이 모기의 체내에서 서서히 소화되는 과정에서 DNA가 점점 깨지지만 48시간 후 까지는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72시간 후에는 소화가 이뤄져 DNA가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앞으로 남녀 1명씩에서 피를 빤 모기의 체내에 남은 혈액에서 Y 염색체상의 DNA 감정을 통해 성을 특정해 내고 모기에게 남은 혈액의 DNA가 깨진 정도 등을 토대로 몇 시간 전에 피를 빨았는지 추정하는 방법 등을 찾아낸다는 계획이다.

나고야대학의 야마모토 도시미치 교수(법의학·생명윤리학)에 따르면 여름에 발생하는 범죄현장에는 모기가 있는 경우가 많다. 야마모토 교수는 “아직 연구단계지만 모기를 통해 현장에 있던 시간까지 알아낼 수 있게 되면 현장에 남은 모기도 증거가 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가 범죄억제로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