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환경오염 따른 경제손실, 한국이 터키·인도 이어 3위”

OECD “환경오염 따른 경제손실, 한국이 터키·인도 이어 3위”

입력 2017-06-26 07:10
업데이트 2017-06-26 0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경제손실 규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조사한 46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OECD의 최신 보고서 ‘녹색성장지표 2017’(Green Growth Indicators 2017)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20여년간 환경오염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손실 규모가 46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터키와 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이 지표는 지난 20여 년간의 경제성장에서 온실가스 배출과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한 환경오염의 효과를 반영해 경제성장률을 재조정한 것으로, 오염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나라들에서는 플러스로, 늘어난 나라에선 마이너스로 나타난다.

개별 국가가 얼마나 환경보호 노력을 기울이면서 경제성장을 일궜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OECD 조사 대상국 46곳 가운데 29개국은 지난 20여 년간 오염물질 배출이 감소함에 따라 GDP 성장률 조정치가 플러스로 나타났다.

가장 ‘클린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난 나라는 독일로, 성장률 조정치는 32%였다. 이어 일본이 31%로 2위, 이탈리아(29%), 헝가리(22%), 체코(21%), 네덜란드(17%), 프랑스(16%) 등의 순이었다.

반면에, 나머지 17개 나라에선 오염물질 배출이 늘어남에 따라 GDP 성장률을 조정한 수치가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터키가 -1.11%로 오염에 다른 GDP 손실 규모가 가장 컸으며, 인도(-0.97%), 한국(-0.89%), 사우디아라비아(-0.86%), 중국(-0.74%), 멕시코(-0.65%) 등의 순이었다.

한국을 비롯한 17개국이 과거 20여년간 환경의 질을 희생하면서 경제성장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환경상품 수출을 크게 늘리는 등 녹색성장 측면에서 성과도 있었다.

2002년과 2015년 사이 한국은 GDP가 55% 성장한 가운데, 환경 관련 상품 교역량은 252%가 급증했다. 특히 전체 수출 가운데 환경 련 상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4.6%에서 11.4%로 갑절 이상 늘었다.

OECD 한국대표부의 윤종원 대사는 “우리는 높은 화석연료 소비, 대기오염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고 환경오염으로 인한 GDP 손실 46개국 중 3위였다”면서 “온실가스 가격제도, 환경세제, 녹색인프라 확충 등 ‘녹색’과 ‘성장’ 간 간 정합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