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中 ‘3불약속’ 표현에 공식항의…中,‘약속→입장표명’ 수정

정부, 中 ‘3불약속’ 표현에 공식항의…中,‘약속→입장표명’ 수정

입력 2017-11-02 17:32
업데이트 2017-11-02 1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외교부 대변인 발언에 정식항의…中매체서도 ‘약속’표현 사라져

한중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합의와 관련해 굴욕외교 논란을 불러 일으킨 ‘3불(不) 약속’이라는 표현에 대해 정부가 중국 측에 공식 항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2일 베이징 외교 소식통 등에 따르면 정부는 ‘약속’이라는 표현과 관련해 중국 측에 항의했고, 중국도 이를 수용해 ‘약속’을 ‘입장 표명’이라는 표현으로 수정했다.

‘3불 약속’은 한국이 사드 추가 배치와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제 참여, 한미일 안보협력의 군사동맹으로 발전 등을 하지 않겠다고 중국에 약속했다는 것으로,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처음 언급돼 논란이 됐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3불’을 언급하며 “한국이 ‘약속(承落)’을 지키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중국 관영매체 등 주요 언론들이 ‘약속’이라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논란이 확산했고, 사드 합의와 관련해 한중 이면합의설까지 제기됐다.

정부는 즉시 중국 측에 관련 표현에 대해 항의했으며, 중국 측도 이를 수용해 해당 표현을 수정했다.

화 대변인은 한국 측의 항의 이후 열린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는 “한국이 ‘입장 표명(表態)’을 지키기 바란다”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등도 관련 사설에서 ‘약속’ 대신 ‘입장표명’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약속이라는 표현 때문에 굴욕 외교 논란이 있었는데 양측이 합의한 내용은 공동 결의문에 나온 그대로”라며 “기존 입장에서 더 나아가거나 달라진 것은 없다. 중국도 이런 사실을 잘 알기 때문에 즉시 해당 표현을 수정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