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트럼프 국회연설은 역사적…北 비핵화하면 더 밝은 길”

백악관 “트럼프 국회연설은 역사적…北 비핵화하면 더 밝은 길”

입력 2017-11-09 11:31
업데이트 2017-11-09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핵무기 논의 불가’ 전제조건 제시해선 대화 못해”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국회연설에 대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길을 걷기 시작한다면 더 밝은 길이 있다는 사실을 말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서울을 떠나 중국 베이징으로 향하는 기내에서 기자들에게 “북한이 개발하고 있는 무기들이 북한 정권을 안전하게 하는 게 아니라 더욱 큰 위험을 빠트리게 할 수 있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분명한 메시지”라며 이같이 전했다.

그는 “북한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북한의 무기는 미국과 우리의 동맹국을 협박해 제재를 해제시키고 미군을 한반도에서 철수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을 적화통일시키려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그런 일이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매우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언급,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 주한미군을 철수하거나 북한의 적화통일을 수수방관하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했다.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조건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에서) ‘위협의 완화’, ‘도발 중단’, ‘총체적 비핵화’를 분명히 했다”며 “북한이야말로 핵무기에 대한 부분은 테이블 위에 올려놓을 수 없다면서 대화의 전제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게 해선 시작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북한이 비핵화 관련 합의를 깬 전례들을 거론하며 “북한이 합의를 깨트리고 속여온, 북한과의 직접적인 외교가 실패한 역사에 비춰 트럼프 대통령은 검증될 수 없는 협상은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비핵화를 위한 움직임이 검증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 정부는 처음부터 대화가 열려 있다고 했지만, 북한은 대화에 관심이 있다는 신호를 거의 보여주지 않았다”며 “지금 당장으로서는 비핵화를 위한 조짐조차 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역사를 보면 중국은 김정일 정권 시절, 김 전 국방위원장에게 개혁과 개방의 이점을 설득하려고 노력했고 당시 김 전 위원장이 중국에 6번이나 왔었지만, 북한으로 돌아간 뒤에는 매번 효력이 없었다”며 “개혁과 개방이 정권교체에 준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그들의 마음속에 있다고 추측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회 연설에 대한 평가로는 “역사적인 연설이었다”며 “북한의 인권유린에 초점을 맞추고 그 위협에 맞서 대처할 국제사회의 의무를 다룬, 북한 정권의 본질에 대해 그렇게까지 깊이 들어간 연설을 보지 못했다”고 자화자찬했다.

연설문 작성은 강경 우파로 꼽히는 스티븐 밀러 백악관 수석정책고문이 이끄는 메시지팀에서 “다수의 유능한 작가들”이 주도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국가안보회의(NSC) 참모, 행정부 내 고위 관료들과 긴밀히 공조해 연설문을 썼다고 한다.

그러나 이 관료는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아침까지도 수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끝까지 직접 고쳤다. 이번 연설은 대통령의 생각과 말을 아주 많이 보여주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 본인이 가장 큰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날 무산된 트럼프 대통령의 비무장지대(DMZ) ‘깜짝 방문’ 시도를 언제부터 계획했느냐는 기자들의 물음에는 “대통령의 일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할 수 없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삼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