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부양률 35년간 3.7배로 급등…상승폭 OECD 최대

한국 노인부양률 35년간 3.7배로 급등…상승폭 OECD 최대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17 10:18
수정 2017-12-17 16: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韓 2015년 19.4%→2050년 72.4%…연금지출률은 OECD 27위 불과”

우리나라 노인부양률이 2050년까지 35년간 3.7배로 급등해 상승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7일 OECD의 ‘한눈에 보는 연금 2017’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부양률은 2050년 72.4%로 2015년 19.4%의 3.7배로 급등할 것으로 전망됐다.

근로인구(20~64세) 100명에 의존하는 노인(65세 이상) 수가 2015년 19명에서 2050년 72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의미다.

조사대상 OECD 35개국 중 한국의 노인부양률 순위는 2015년 32위였지만 2050년에는 일본(77.8%)과 스페인(77.5%), 그리스(73.4%), 포르투갈(73.2%)에 이어 5위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35년간 한국의 노인부양률 상승폭은 1.9배인 OECD 평균의 2배 수준에 달해 조사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상승폭이 1.3배인 스웨덴의 3배에 육박했다.

2050년 한국의 노인부양률은 1975년 8.2%에 비해서는 8.8배여서, 같은 기간 상승폭이 1.7배인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5배에 달했다.

한국의 노인부양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고령화 충격과 사회 불평등을 최소화기 위한 연금 개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연금에 대한 공공지출액은 2013~2015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2.6%에서 2050년 6.3%로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15.6%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 슬로베니아나 이탈리아(14.8%), 오스트리아(14.6%)의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대상 34개국 중 27위 수준이다.

OECD는 “많은 이들에게 적절한 연금을 보장하기 위해 고령자의 고용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한국과 일본, 호주, 스페인, 그리스, 이스라엘 내 소득 제한 등 퇴직 연령 이후 일과 연금을 결합하는데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OECD는 한국과 일본, 포르투갈,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에서는 퇴직 연령 이후 계속 일할 때 금전적 인센티브가 크지만 연금 사업자가 비용을 많이 내야 한다며 유연한 은퇴연령에 맞춘 연금 혜택 조정과 함께 연금 체계의 재정적 균형 확보에 유연성이 부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