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개발 비결은…“구소련 SLBM 설계도와 기술자 유출”

북한 미사일 개발 비결은…“구소련 SLBM 설계도와 기술자 유출”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28 16:21
업데이트 2017-12-28 16: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수단·북극성은 구소련 R-27과 유사…미국의 소련 과학자 포용실패도 원인

북한의 비약적인 미사일 기술 발전은 옛 소련의 첨단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설계도와 연구진을 대량으로 빼내온 덕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정황 증거를 토대로 한 의혹 수준이었던 이와 같은 가설은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입수해 27일(현지시간) 공개한 구 소련 ‘마케예프 로켓 설계국’의 문건을 통해 한층 구체화했다.

WP는 마케예프 설계국의 최고급 미사일 기술도안과 마케팅 책자 등을 입수해 비교한 결과 지난해 6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북한의 ‘무수단’(화성-10)이 소련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R-27 Zyb와 같은 엔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엔진뿐만 아니라 설계상으로도 무수단은 R-27과 유사한 특징을 다수 보여준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북한이 작년 8월 시험발사한 SLBM ‘북극성-1’ 역시 마케예프 설계국이 만든 R-27 고유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제임스마틴 비확산연구센터’의 조슈아 폴락 연구원은 “(북한의) 두 미사일은 모두 대체로 R-27의 설계에서 파생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이와 같은 무기 기술을 손에 넣을 수 있었던 것은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 후 갈 곳을 잃은 과학자들을 스카우트한 덕분이다.

원래 미국의 투자자들은 마케예프 설계국과 조인트벤처를 만들어 당시 소련의 최첨단 미사일 기술을 평화적인 목적, 즉 상업 위성을 띄우기 위한 우주 추진로켓 개발에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법적·행정적 장벽으로 이 계획이 무산되자 좌절한 소련 연구진 상당수가 북한으로 스카우트됐다는 것이다.

1993년 8월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서 평양으로 향하던 러시아의 미사일 과학자와 가족 60여 명이 체포된 사건은 이런 북한의 노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미국, 러시아, 한국의 정보당국에 따르면 이들 중 일부가 결국 평양행(行)에 성공, 우주 추진로켓 개발을 돕는다는 명분으로 실제로는 북한의 미사일 개발을 컨설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과 함께 마케예프 설계국의 미사일 설계도와 청사진, 기술도안도 북한에 유출됐다. 북한은 이들에게 본국에서 벌 수 있는 돈의 200배인 월 1천200달러(약 128만 원)를 안겨줬다고 WP는 전했다.

참여과학자연대(UCS)의 미사일 전문가 데이비드 라이트 박사는 “북한은 1990년대 기준으로 최신식 컴퓨터 작동 기계 도구를 손에 넣을 수 있었다”면서 “그건 지금도 꽤 좋은 기계 도구”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당시 조인트벤처를 신속히 승인해 소련의 무기 과학자들을 포용하지 못한 것이 결국 미 본토 타격이 가능한 북한의 미사일 개발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워졌다.

1990년대 초 마케예프 설계국과 미국 투자자들의 조인트벤처 ‘시 론치 인베스터’(Sea Launch Investors)의 부사장을 맡았던 카일 길먼은 WP에 “우리는 창의적일 필요가 있었다. 노력해서 평화를 얻어냈어야 한다”면서 “그러나 우리 정부와 군, 정보기관은 근시안적이었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