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中, 美중간선거 개입”… 시진핑 “무역전쟁, 자력갱생 촉진”

트럼프 “中, 美중간선거 개입”… 시진핑 “무역전쟁, 자력갱생 촉진”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9-27 23:08
업데이트 2018-09-28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시진핑, 더이상 내 친구 아냐”

아이오와주 신문의 中언론 광고가 발단
왕이 “中, 내정간섭 안 해” 즉각 반박
시진핑 “보호무역, 나쁜 것만은 아냐”
“정직하게 말하자면 시진핑 주석은 더이상 내 친구가 아니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 VS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는 중국이 자력갱생의 길을 가도록 촉진하고 있어 나쁜 것만은 아니다.”(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

트럼프 미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중국이 오는 11월 6일 중간선거에 공화당이 불리하도록 선거에 개입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을 때 수차례 ‘중국 책임론’을 언급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무역전쟁 당사국인 중국이 중간선거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폭발력 강한 주장을 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량 살상무기 확산방지를 주제로 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난데없이 중국의 선거 개입 의혹을 제기하자 유엔총회에 참석 중인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곧바로 반격했다. 왕 부장은 “중국은 어떤 나라의 국내 문제에도 개입한 적이 없고 개입하지도 않을 것이며 중국에 대한 부적절한 비난을 반대한다”고 날 선 해명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선거 개입 증거로 제시한 건 공화당의 텃밭인 아이오와주의 지역 신문인 디모인 레지스터에 중국 관영언론인 차이나데일리가 실은 4면짜리 증보판이었다. 증보판에 담긴 주요 내용은 미·중 간 상호무역의 이익을 강조하는 원론적인 것이었다. 외국 정부가 미국 언론을 이용해 자국의 입장을 전하는 건 일반적인 행위다. 트럼프 대통령이 아무런 증거 없이 섣부른 의혹을 제기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디모인 레지스터의 캐롤 헌터 편집장은 로이터통신을 통해 “우리 신문은 아이오와주 최대 발행부수 언론이고 이 지역 농부들은 중국에 대한 관세로 악영향을 받기 때문에 차이나데일리 광고처럼 중국의 입장을 전한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AP통신은 중국의 선거 개입 의혹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발언이 러시아의 2016년 미 대선 개입 인정을 주저해 온 과거 모습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헤이룽장성 시찰에 나선 시 주석은 이날 미국을 직접 겨냥하지는 않았지만 무역전쟁 와중에 자력갱생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국제적으로 선진기술과 핵심기술의 확보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일방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상승하여 우리에게 자력갱생의 길을 강요하는 것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니다”라며 “중국은 결국 자기 자신에게 의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이 자력갱생을 강조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4월 우한 반도체 공창 시찰 때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ZTE가 미국의 제재로 파산 위험에 시달리자 핵심기술은 동냥으로 얻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날로 심각해지는 가운데 중국은 11월 1일부터 기계와 섬유 등 1585개 수입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하한다고 27일 발표했다. 중국이 올 들어 인하한 관세를 모두 합하면 소비자와 기업의 세금 부담은 600억 위안(약 9조 7000억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내수 진작과 개방 확대를 통해 경제적 난관을 헤쳐 나가겠다는 중국 정부의 전략으로 분석된다.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극단적으로 압력을 가해서는 중국 경제를 무너뜨릴 수 없다”며 무역전쟁 장기화를 시사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9-28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