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시드니 오팔타워 소개령 ...개발사 “붕괴 위험 없다”

호주 시드니 오팔타워 소개령 ...개발사 “붕괴 위험 없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8-12-28 17:14
업데이트 2018-12-28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설비 1억 6500만 달러, 지난 8월 완공 고급 주상복합 건물

주정부 정밀진단 명령...주민들 “영원히 돌아오고 싶지 않다”
이미지 확대
호주 시드니 올림픽파크의 오팔 타워. 호주 ABC방송 캡처
호주 시드니 올림픽파크의 오팔 타워. 호주 ABC방송 캡처
1억 6500만 호주달러(약 1300억원)를 들여 지난 8월 완공된 호주 시드니 올림픽파크의 36층 주상복합 아파트 ‘오팔타워’ 주민들이 또 다시 긴급 대피하는 상황에 처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건물 내에서 벽이 쩍 갈라지는 소음으로 입주민들이 대피한 지 나흘 만의 소개령이다.

28일 호주 ABC방송과 시드니모닝해럴드 등에 따르면 뉴사우스웨일스 주정부의 명령에 따라 공학 전문가들이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슬라브 균열과 관련한 구조적 결함에 대한 정밀 조사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300명이 넘는 입주민들에게 최소 10일간의 소개령이 내려졌다. 이날부터 대피를 시작한 주민들의 임시 숙소는 노보텔 등 인근 호텔에 마련됐고 오팔타워의 입출입도 통제되고 있다.

에코브 측은 붕괴 위험은 전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주정부의 요청으로 정밀 조사를 맡게 된 마크 호프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는 “현 단계에서는 누구도 이 건물이 안전하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오팔 타워 내부 벽면의 균열로 슬라브가 떨어져 있다. 호주 ABC 방송
오팔 타워 내부 벽면의 균열로 슬라브가 떨어져 있다. 호주 ABC 방송
현재 오팔타워에서는 10층과 12층, 13층의 벽 등에 균열이 발견된 상황이다. 현관문이 똑바로 닫히지 않다는 증언부터 강풍이 불 때마다 건물 전체에서 흔들림이 감지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크리스마스에 이어 새해 연휴까지 망치게 된 주민들 중 상당수는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입주민 케리 루히히는 “전혀 안전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딴 곳으로 이사를 가고 싶다”고 말했고, 한 주민은 “10일간 대피했다가 다시 아파트로 돌아올 지 아니면 영원히 떠날 지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근 호텔로 대피한 입주민 델사는 “아직도 악몽을 꾸고 공포에 떨고 있다”면서 “벽이 쩍쩍 갈라지는 소음을 듣는 순간 무작정 밖으로 달아나야 했다”고 첫 대피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미지 확대
건물 외부에 생긴 균열로 부서진 벽면. 호주 ABC방송
건물 외부에 생긴 균열로 부서진 벽면. 호주 ABC방송
결함 원인을 둘러싼 추측과 반론도 무성하다. 건설사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싸구려 자재들을 썼다는 의혹부터 파손 부위가 제한적인 만큼 구조적 안전 문제가 아니라는 반론도 나온다.

오팔타워는 392채의 아파트와 상가 등이 갖춰진 주상복합 건물로, 지난 8월부터 입주민이 살기 시작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