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스타 50인 “정치인들, 내 노래 허락받고 써라” 단체서한

팝스타 50인 “정치인들, 내 노래 허락받고 써라” 단체서한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7-29 15:50
업데이트 2020-07-29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닐 영 등 트럼프와 신경전 벌이는 등 정치적 논란에
믹 재거, 신디 로퍼 등 美 공화·민주·의회에 서한

이미지 확대
믹 재거
믹 재거
믹 재거와 신디 로퍼 등 팝스타 50여명이 미국 정치권을 향해 선거 캠페인 등 정치 행사에서 자신들의 노래를 써야 할 때 먼저 허락을 받으라는 공개서한을 띄웠다.

28일(현지시간) BBC방송에 따르면 예술인 권리동맹과 함께 미국 정당과 상·하원에 보낸 서한에서 가수들은 “정치에 음악가들을 끌어들이는 것은 (음악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이며 팬들도 바라지 않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허가를 먼저 받도록 한 이유에 대해 “아티스트들이 마치 특정 정치인을 지지하는 것처럼 암시하고 왜곡하는 도덕적 해이에서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초 작곡가 겸 가수 닐 영이 미국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자신의 노래가 나온 것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상대로 불만을 제기하는 등 노래 사용을 둘러싼 대중음악 스타들과 정치권의 갈등은 꾸준히 있어 왔다. 롤링스톤스는 트럼프를 상대로 소송까지 하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원작자의 허가 없이 음악을 사용한 것은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008년 대선 승리 후 가진 연설에서는 흑인 미식축구 감독의 리더십을 다룬 영화 ‘리멤버 타이탄’의 주제음악이 쓰였는데, 당시 장면을 본 해당 작곡가가 “왜 우리 노래가 허락도 없이 나오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셰릴 크로
셰릴 크로
정치 이벤트에서의 음악 사용은 비상업적 목적이기 때문에 저작권법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도 있지만 아티스트들이 정치적 오해를 받는 등 불필요한 논란이 일자 결국 집단 서한까지 보내 정치권에 우려를 표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공개서한에는 셰릴 크로, REM, 얼래니스 모리셋 등 여러 가수가 함께했다. 이들은 이번 서한에 대해 8월 10일까지 답변을 달라고 정치권에 요구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