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우선 접종하는 대다수 국가와 차별
경제활동인구부터 접종해 집단면역 추진
중국산 백신 고령층에 시험 안한 이유도
![인도네시아 백신 접종 현장-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14/SSI_20210114155917_O2.jpg)
![인도네시아 백신 접종 현장-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14/SSI_20210114155917.jpg)
인도네시아 백신 접종 현장-AP 연합뉴스
BBC는 “인도네시아가 18~59세 근로자를 대상으로 중국 시노백사의 백신을 1차 접종하기 시작했다”며 “다른 국가들과 현저하게 다른 접근 방식”이라고 보도했다. 인도네시아는 전국민에게 백신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가장 먼저 백신을 맞는 장면을 TV에 생중계하기도 했다.
지난달부터 시작된 각 국의 백신 접종은 의료진과 요양원 거주자, 고령층을 우선 접종 대상으로 삼았다. 감염에 가장 취약한 연령대부터 접종을 시작한 것으로, 20~40대의 젊은 직장인들은 사실상 가장 마지막 순서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도네시아는 거꾸로 의료진과 더불어 젊은층을 1차 접종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이 국가 경제를 책임지고 있고, 고령층에 비해 활동반경이 넓어 바이러스를 퍼트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 정부 자문위원은 BBC에 “집밖에 나가서 밤늦게까지 여기저기 활동하는 근로자를 먼저 접종하는 것이 타당하다”면서 “이는 집단면역을 가능한 한 빨리 형성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부디 구나디 사디킨 보건부 장관도 “택시기사, 경찰 등 접촉이 많은 이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제만을 위한 게 아니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접종 순위 결정은 다른 국가에서도 고민이 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중순 최우선 순위 다음 접종 대상을 결정하며 ‘필수 근로자냐, 특정 연령 이상 중장년층이냐’를 놓고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에서 격론을 벌인 바 있다. 결국 자문위는 식료품점 직원과 교사, 75세 이상 노인 등을 접종 대상으로 정해 CDC에 권고했다.
일각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이번 결정이 시노백 백신의 안전성이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인도네시아는 앞서 1620명을 대상으로 백신 임상시험을 진행해 65.3%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발표했지만, 시험 대상 규모가 너무 적었던데다 고령층은 시험에 포함시키지도 않았다. 시노백 백신은 임상결과가 국가마다 들쑥날쑥 다르게 나오며 효능 논란이 적지 않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