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아프간 철군 시한 31일 고수... “테러 위협 증가”

바이든, 아프간 철군 시한 31일 고수... “테러 위협 증가”

임효진 기자
입력 2021-08-25 08:40
업데이트 2021-08-25 0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정부 붕괴 사태와 관련해 미군을 철수시켜 아프간 전쟁을 끝내기로 한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AP 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정부 붕괴 사태와 관련해 미군을 철수시켜 아프간 전쟁을 끝내기로 한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AP 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시한을 유지하기로 했다.

24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에서 미국인과 아프간 조력자 등을 대피시키고 완전히 철군하기로 한 작업을 오는 31일 종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방부의 권고를 수용한 것이다.

그는 이날 주요 7개국(G7) 정상들과의 화상 회의에서도 아프간에서의 목표 달성에 따라 임무를 예정된 시간에 끝낼 것이라고 통보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서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의 지부를 자칭하는 IS-K의 커지는 위협을 아군에 대한 위험에 추가했다고도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에서 IS-K가 카불 공항을 타깃으로 미군과 연합군을 공격하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미군이 아프간에 오래 머물수록 IS-K의 공격 위험이 심각해지고 커진다고 우려했다.

AP통신과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에 대해 “카불 공항에서의 커진 안보 위협에 대한 미군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31일 임무 종료는 대피자들의 공항 진입을 포함해 탈레반의 계속된 협조에 달려 있음을 분명히 했다.

AP통신에 따르면, 이날 G7 회의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대피 시한 연장을 주장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이에 반대하면서 시한 연장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탈레반 측은 31일 시한을 ‘레드라인’으로 규정하며 경고한 상태다.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이번 주말까지 최대 10만 명을 추가 대피시킬 수 있다며 31일까지 아프간을 떠나길 원하는 모든 미국인의 대피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