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불의 고리’ 대지진 전조? 심해 산갈치 멕시코 출현

[영상] ‘불의 고리’ 대지진 전조? 심해 산갈치 멕시코 출현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2-10-11 10:27
수정 2022-10-11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일(현지시간) 멕시코 시날로아주 해안에서 약 4m 길이 산갈치가 낚였다. 2022.10.5  트위터 갈무리
5일(현지시간) 멕시코 시날로아주 해안에서 약 4m 길이 산갈치가 낚였다. 2022.10.5
트위터 갈무리
칠레에 이어 멕시코에서도 심해에 사는 초대형 산갈치가 잡혔다. 심해어의 잇단 출현에 지진 전조에 대한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10일(이하 현지시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지난 5일 멕시코 시날로아주 해안에서 약 4m 길이 산갈치가 낚였다. 보기 드문 심해어의 등장에 어부들도 신기해하는 눈치였다.

산갈치과 리본이악어(학명 레갈레쿠스 글레스네, Regalecus glesne)는 평균 10m 길이로, 세계에서 가장 긴 경골어류다. 200~1000m 깊이 해저에 서식하는 심해어다.
5일(현지시간) 멕시코 시날로아주 해안에서 약 4m 길이 산갈치가 낚였다. 2022.10.5  트위터 갈무리
5일(현지시간) 멕시코 시날로아주 해안에서 약 4m 길이 산갈치가 낚였다. 2022.10.5
트위터 갈무리
아직 추론에 불과하지만, 이런 심해어가 육지와 맞닿은 해안까지 올라오는 현상을 일각에선 지진 전조로 보기도 한다. 실제 2020년 7월 알래스카에선 산갈치가 발견된 후 며칠 지나지 않아 강도 7.8 지진이 발생했고, 같은 해 멕시코에서도 산갈치가 나타난 후 열흘 만에 강도 7.5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에도 칠레와 멕시코에서 잇따라 산갈치가 낚이면서 대지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지난 7월 칠레 북부 항구도시 아리카에선 6m 길이 산갈치가 낚였는데, 현지 언론은 지진 전조일 수 있다는 속설에 주목해 이를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공교롭게도 칠레와 멕시코는 지진 활동이 활발해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한다.

다만 대부분의 전문가는 ‘심해어가 해안으로 떠밀려오면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속설이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고 말한다. 특히 심해어가 떼로 밀려 나온 게 아닌, 한 마리씩 해안에서 발견되는 일을 지진과 엮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지난 7월 11일(현지시간) 칠레 북부 항구도시 아리카에선 6m 길이 산갈치가 낚였는데, 현지 언론은 지진 전조일 수 있다는 속설에 주목해 이를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2022.7.11  칠레 국영신문 라 나시온
지난 7월 11일(현지시간) 칠레 북부 항구도시 아리카에선 6m 길이 산갈치가 낚였는데, 현지 언론은 지진 전조일 수 있다는 속설에 주목해 이를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2022.7.11
칠레 국영신문 라 나시온
일본도 과거 심해어와 대지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으나,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일본 도카이대학 오리하라 요시아키 특임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지진어’로 불리는 심해 연어의 일종 ‘사케가시라’를 대상을 사례 분석한 결과, 심해어 발견 후 지진이 발생한 경우는 약 4%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1928~2011년까지 심해어가 해안에 떠밀려 왔거나 포획된 사례를 수집했다. 이후 일본을 5개 지역으로 나눠 심해어가 발견된 지 30일 이내에 규모 6 이상의 지진 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심해어가 발견된 363건의 사례 중 지진으로 연결된 건 약 4%인 13건에 불과했다.

그렇다면 심해어는 어떻게, 왜 해안으로 떠밀려오는 걸까. 가장 설득력 높은 건 먹이를 찾으러 해수면까지 올라왔다가 파도에 휩쓸려 나오는 것이란 주장이다.

어재선 경동대 해양심층수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에 “심해어가 해저에는 부족한 먹이를 찾거나 피부에 있는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 또는 일광욕을 위해 표층에 올라왔다가 파도에 휩쓸릴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어 교수는 “일본에서도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만, 심해어 출현과 상관관계는 희박하다”며 “심해어가 지진 때문에 올라온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