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000㎜ 폭우로 20명 사망
다수 마을 침수·고립 ‘기후재앙’
![중국 베이징의 한 주민이 제5호 태풍 독수리가 할퀴고 지나간 지역을 지나가고 있다. 베이징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02/SSC_20230802162023_O2.jpg)
![중국 베이징의 한 주민이 제5호 태풍 독수리가 할퀴고 지나간 지역을 지나가고 있다. 베이징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02/SSC_20230802162023.jpg)
중국 베이징의 한 주민이 제5호 태풍 독수리가 할퀴고 지나간 지역을 지나가고 있다. 베이징 로이터 연합뉴스
2일 중국 중앙기상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태풍 독수리가 중국 동남부에 상륙한 뒤로 29일부터 베이징과 허베이성 등 북부 지역을 강타했다. 허베이성 싱타이시는 전날 오전 기준 누적 강수량 1003㎜를 기록해 평년이라면 2년 간 내릴 비가 한꺼번에 쏟아졌다. 베이징시기상대는 “베이징 지역에 과거 140년을 통틀어 가장 많은 비가 내렸다”고 밝혔다.
베이징 최대 강수량을 기록한 서북부 창핑구에는 이날 오전까지 745㎜의 폭우가 내렸다. 과거 이 지역 최대 강우량은 1883년 7월 510㎜와 1891년 7월 609㎜였다. 중국 기상당국은 태풍이 몰고 온 수증기가 동쪽의 아열대 고기압과 남동풍, 북부의 산지 지형으로 내륙에 오래 머물게 된 것이 이번 호우의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전통적으로 여름이 매우 건조한 베이징 지역에 역대급 폭우가 쏟아진 것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인명 피해도 잇따랐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1일 오후 현재 베이징에서 11명이 숨지고 13명이 실종됐다. 허베이에서도 사망자 9명, 실종자 6명이 발생했다. 베이징에선 4만 4673명의 이재민이 생겼고 허베이성에서도 87개 현 54만여명이 폭우 피해를 입었다.
북부 지역의 비는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지만, 홍수가 발생한 마을 곳곳에서 아직도 고립된 주민이 적지 않다. 허베이성에서 특히 피해가 컸던 줘저우시에선 다수의 마을이 물에 잠겼다. 주민들의 고립은 이 가운데서도 세 줄기의 하천이 만나는 평원에 있는 마터우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구조당국은 지금까지 총 8000여명의 인력을 투입했으며, 현재 헬리콥터와 구명보트 등을 이용해 주민들을 구조 중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현재 남쪽에서 제6호 태풍 ‘카눈’이 중국 동남부 푸젠성과 저장성 해안으로 향할 수 있어 중국 당국은 추가 피해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