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유엔 안보리, 6년만에 北인권 공개토의…절차투표없이 확정

[속보] 유엔 안보리, 6년만에 北인권 공개토의…절차투표없이 확정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8-18 00:34
수정 2023-08-18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러, 표대결 피하기 위해 이의제기 안한 듯

이미지 확대
2011년에 탈북해 남한에서 대학을 졸업한 김일혁씨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문제 공개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8.17 AP 연합뉴스
2011년에 탈북해 남한에서 대학을 졸업한 김일혁씨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문제 공개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8.17 AP 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017년 이후 약 6년만에 처음으로 북한 인권문제 공개회의를 개최했다.

안보리는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이 공동으로 제출한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토의 안건을 상정했다.

북한 인권 공개토의에 반대할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 입장을 밝히지 않아, 북한 인권문제 공개 토의 안건은 절차투표 없이 채택됐다.

앞서 중국은 안보리가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권한 밖이고, 북한 인권 논의는 대립과 적대감을 심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것은 미국 등이 절차투표에서 안건 채택에 필요한 9개국 이상의 지지를 확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회원국들의 발언에 앞서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에서 고문과 강제노동 등 인권탄압이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2011년에 탈북해 남한에서 대학을 졸업한 김일혁씨는 북한 주민의 열악한 상황을 전한 뒤 한국말로 “독재는 영원할 수 없다. 더 이상 죄짓지 말고 이제라도 인간다운 행동을 하라”고 북한 정권을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