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2023년 여름은 가장 비싼 여름”
이탈리아·그리스 등 관광 국가
여행객 대상 ‘바가지요금’ 기승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전역의 ‘바가지요금’에 관광객들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위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DB
22일(한국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한 소비자보호단체는 황당할 정도의 바가지 사례를 모아 ‘미친 영수증’ 명단을 공개했다.
CNN은 “2023년 여름은 역사상 가장 ‘비싼’ 계절로 기록될 것”이라며 이번 여름 이탈리아 관광지 물가가 성수기 이전보다 약 130%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와 그리스 등 지중해 해안가에선 파라솔 이용에 약 120유로(약 17만 5000원)를 받고 있다.
영국 가디언은 “그리스 파로스섬에서 유료 파라솔에 반대하는 단체까지 ‘파로스 해변을 지키자’라는 이름으로 결성되는 등 항의가 거세다”고 전했다.
파로스섬의 한 주민은 “법에선 수익 사업으로 해변의 50%만 쓸 수 있다는데, 실제론 거의 전부를 차지한다”고 불평했다. 그리스 당국은 수사에 착수해 관련 법 위반 혐의로 33명을 체포하기도 했다.
그런가하면 음식을 나눠 먹을 빈 접시나, 아이의 젖병을 데울 전자레인지 사용에도 어김없이 사용료가 붙는다. 샌드위치를 반으로 자르는 데 2유로(약 3000원)를 요구한 식당도 있다.
12일 프랑스 지중해에 위치한 코르시카섬 아작시오의 거리를 관광객과 현지인들이 걷고 있다. AFP 연합뉴스
‘항구’ 풍경이 보인다는 이유로, 커피 2잔과 작은 물 2병에 60유로(약 8만 7000원)를 받은 호텔도 있었다.
이처럼 바가지가 극성인데도 유럽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탈리아 로마 나보나 광장을 찾은 한 미국인 관광객은 “여행에 지나치게 많은 돈을 들였지만, 우리는 비싼 가격을 알면서도 코로나19 이전부터 이번 여행을 꿈꿔 왔다”고 말했다.
이탈리아의 경우, 올여름에만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300만명 더 많은 6800만명 정도가 찾을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파리의 올해 예상 방문객도 3700만명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다.
하지만 비싼 물가에 바가지 상술마저 기승을 부리자 여행객뿐 아니라 유럽 내부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