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2차 방류 10월 5일 개시…기약 없는 최종 방류

오염수 2차 방류 10월 5일 개시…기약 없는 최종 방류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3-09-29 09:15
업데이트 2023-09-29 09: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쿄신문 “2051년 이후에도 방류 이어질 수 있어”

이미지 확대
수산물 먹는 기시다 총리
수산물 먹는 기시다 총리 지난달 31일 일본 도쿄의 한 수산시장을 방문한 기시다 후미오(앞줄 왼쪽) 일본 총리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안전성을 강조하려는 목적으로 수산물을 먹고 있다. 도쿄 AP 연합뉴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2차 바다 방류를 다음달 5일 개시한다.

도쿄전력은 28일 1차 방류 때와 마찬가지로 오염수 7800t을 다음달 5일부터 약 17일간 방류한다고 발표했다. 29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1차 방류 종료 후 설비 시설 등을 점검한 결과 큰 문제가 나오지 않아 다음달 3일 방류 준비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앞서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지난달 24일 1차 방류를 시작해 지난 11일까지 7800t의 오염수를 방류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내년 3월까지 오염수 3만 1200t을 방류하기로 했는데 이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된 오염수의 약 2%에 해당하는 양이다.

앞서 도쿄전력은 2차 방류를 하기 위한 오염수를 분석한 결과 측정 대상 29개 방사성 핵종 가운데 탄소-14, 세슘-137, 코발트-60, 아이오딘-129 등 4종의 방사능 핵종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도쿄전력은 “측정 대상 29종뿐만 아니라 자율적으로 확인하는 39종의 핵종과 삼중수소(트리튬)까지 포함해 이번 시료 분석 결과는 모두 방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계획대로 오염수를 방류하기로 했다.

오염수 방류 시 삼중수소 농도는 ℓ당 10㏃(베크렐) 미만으로 정했다. 일본 환경성과 후쿠시마현, 수산청이 각각 바닷물을 채취해 삼중수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됐다. 기준치 이하로 오염수를 방류했지만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 바닷물의 삼중수소량은 미세하게 늘었다. 하지만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안전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미지 확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시설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시설 지난달 27일 도쿄전력이 외국 특파원을 대상으로 공개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시설에서 관계자가 오염수를 희석하기 위해 퍼 올려진 바닷물 이동 파이프 위를 걷고 있다.
후쿠시마 공동취재단
내년 3월 이후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미정이다. 일본 정부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이 완전히 폐로가 될 때까지 약 30년 동안 오염수를 방류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기약 없이 계속 방류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미야노 히로시 일본원자력학회 폐로검토위원장은 최근 아사히신문과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을 2051년까지 폐로하겠다는 계획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미야노 위원장은 “데브리(녹은 핵연료 등의 잔해물)가 없는 일반 원전도 폐기에 30~40년이 걸리는데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지금도 데브리가 남아 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앞서 일본원자력학회는 2020년 7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폐기에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수백 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빗물과 지하수 등이 스며들어 오염수가 계속 발생할 수밖에 없다.

실제 폭발 사고가 발생한 1~3호기에서 발생한 데브리는 모두 880t으로 이를 모두 꺼내서 별도 공간에 보관하려면 오염수가 담긴 탱크를 처분할 수밖에 없다는 게 일본 정부의 입장이다. 하지만 원격 조작 로봇 등을 이용해 꺼낼 수 있는 데브리의 양은 몇 g에 그치며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도쿄신문은 “2051년의 폐로 목표 이후에도 방류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사고 수습은 매우 힘든 작업이 많고 폐로 작업도 분명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