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은 더 비싸게”…日정부 ‘이중가격제’ 논의

“외국인은 더 비싸게”…日정부 ‘이중가격제’ 논의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4-02-26 20:30
업데이트 2024-02-27 0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광객 급증에 물가 상승, 현지인 부담
유력 언론, 료칸협회 등서 연일 제기
‘정책 시행 시 가장 많은 영향받을 듯’

이미지 확대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픽사베이
기사 내용과 관계없음. 픽사베이
일본에서 엔화 가치가 떨어지는 ‘엔저 현상’이 장기화하자 일본을 찾는 한국인 등의 외국인 관광객이 물건을 살 때 일본인보다 더 많은 돈을 내게 하는 ‘이중가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물가가 올라가자, 거주자들의 부담이 커진다며 나온 일종의 해결방안이다.

26일 외신에 따르면 나가야마 히스노리 일본 료칸협회 부회장은 “싱가포르에서는 테마파크나 슈퍼마켓, 레스토랑 등에서 거주자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방법으로 ‘이중가격제’를 운용한다”며 “이는 상품을 구매할 때 외국인에게 더 비싼 돈을 받는 정책이다”고 밝혔다.

일본에서 자국민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보여주면 호텔이나 음식점, 관광지 등에서 할인을 해주는 방식이다.

일본정부관광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일본을 방문한 관광객 수는 268만 810명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79.5%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 팬데믹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 기간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세 명 중 한 명(31.4%)은 한국인이었다. 대만인은 49만 2300명, 중국인 41만 5900명이 일본땅을 밟았다.

“관광지 인근 식당 가격 오르고 있다”…현지인 부담
일본 관광산업이 활기를 빠르게 되찾은 데에는 엔저현상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엔화 가치가 낮아지면서 외국인 관광객들의 부담이 줄어들어 비용 면에서 경쟁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지인들은 마냥 웃지만은 못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일수록 물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관광지용 가격’이 현지인들에게는 부담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일본 도쿄의 인기 관광지인 아사쿠사의 나카미세 거리 상점가가 관광객으로 가득 찬 모습. EPA 연합뉴스
일본 도쿄의 인기 관광지인 아사쿠사의 나카미세 거리 상점가가 관광객으로 가득 찬 모습. EPA 연합뉴스
현지인들의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경제전문지 블룸버그통신도 최근 보도에서 이를 지적했다. 매체는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관광지 인근 식당의 가격이 오르고 있다”며 도쿄 지역의 한 식당 메뉴를 사례로 들었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2023년 한 해에만 외국인 2506만 6100명이 일본을 방문했는데, 일본에서는 이들이 물가를 더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고 본다.

이렇다보니 일각에서 관광객용 가격과 현지인용 가격을 다르게 책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JR철도 할인 등 일본의 관광·운수업은 지금까지 물가가 높은 나라의 ‘대접’으로 ‘외국인에게는 할인’을 기본으로 했다”며 “환경이 바뀐 지금, 발상을 전환하고 싶다”고 했다.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면 엔저에 따른 내국인 물가 부담을 낮출 수 있지만, 부작용도 생긴다.

외국인을 차별 대우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일본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인 관광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또 “해외에서도 이런 종류의 이중 가격은 드물지 않다. 하지만 음식점이 이중가격을 내놓을 경우 악평이 퍼질 수 있다”며 “‘빠른 입장’ 등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