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 “남녀 격차 해소에 134년 걸려”
![2024년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6/12/SSC_20240612143252_O2.jpg)
홈페이지 캡처
![2024년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6/12/SSC_20240612143252.jpg)
2024년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
세계경제포럼(WEF)이 12일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 표지.
홈페이지 캡처
홈페이지 캡처
세계경제포럼(WEF)이 12일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에서 한국은 146개국 가운데 9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11계단 올라갔지만 하위권에서 벗어나진 못했다.
이 보고서는 매년 발표되며 교육·건강·정치·경제 4개 분야에서 성평등이 이뤄진 정도를 분석한다. 한국은 4개 부문 중 경제가 112위로 가장 낮았다. 건강은 47위로 가장 높았다.
중국의 전체 성평등 정도는 한국보다 낮은 106위였다. 지난해보다 겨우 1계단 올라가는 데 그쳤다.
한중일 3국 가운데 성평등이 가장 떨어지는 나라는 일본이었다. 118위로 지난해보다 7계단 상승했지만 여전히 바닥권이었다. 일본의 성평등은 경제 분야에서는 120위, 정치 분야에서는 113위였다. 일본 경제계에서 관리직 6명 가운데 5명이 남성인 데다 남성과 여성의 소득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의 대처가 외국과 비교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겸허히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조사 대상 146개국 가운데 남녀평등이 가장 잘 된 국가는 아이슬란드였다. 아이슬란드는 1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어 2위 핀란드, 3위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현재 상황에서 남녀 격차를 해소하려면 134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