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쌀 파동’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18일 도쿄 미나토구의 한 마트 쌀 매대 곳곳이 비어있다. 텅 빈 매대엔 ‘쌀 공급 불안으로 1인당 1포대만 살 수 있다’는 안내가 놓여있다. 도쿄 명희진 특파원
일본 정부가 유례없는 쌀 품귀 사태에 21t 규모의 비축미를 풀기로 했지만 일본 내 쌀값은 10주 연속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에서는 비축미 방출로 시장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지난 3~9일 마트에서 판매된 쌀 5㎏당 평균 가격은 4077엔(약 3만 94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00엔(1만 9300원)이나 올랐다. 이는 10주 연속 오름세로 사상 최고가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여름 쌀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마트 선반에서 쌀이 사라지는 이른바 ‘레이와 쌀 소동’을 겪었다. 정부는 가을 햅쌀이 출하되면 수급이 안정될 것으로 봤으나 쌀값 폭등이 이어졌고, 해를 넘겨서야 비축미 방출을 결정했다.
에토 다쿠 농림수산상은 이날 비축미 입찰이 예상 범위 내에서 진행됐다고 밝혔지만 “매장 가격에 정책효과가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장기적으로는 쌀 생산을 늘려 수출을 장려하고 쌀이 부족하면 이를 국내로 돌리는 등의 정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다만 시장에 풀린 비축미가 쌀값 폭등을 가라앉히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방출량으로는 왜곡된 유통 과정 속에서 부족한 쌀 공급을 메꿀 수 없단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일본의 쌀 수확량은 678만t으로 지난해 대비 18만t 늘었지만 집하량은 215만t으로 21t이 줄었다. 정부가 풀기로 한 비축미 규모인 21t이 증발한 셈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외식산업과 거래하는 도매업자가 공급 안정을 목적으로 재고를 확보하거나 농가가 집하업자를 통하지 않고 직접 친인척이나 지인에게 쌀을 직접 나누는 움직임이 보인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투기 목적으로 일부 업체가 쌀을 쟁였을 가능성도 언급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