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러 외무·대사와 미팅 중 동맹국과 공유 제한 암호화 정보 美정보력 자랑하다가 발설한 듯
함께 있었던 맥매스터 안보보좌관 “군사 작전 등 폭로 없었다” 해명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시 소재 척 그래즐리 연방 상원의원 사무실 인근 건물 위에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 그림과 함께 러시아 유착설에 대한 조사를 촉구하는 광고가 게시돼 있다. 광고에는 “그래즐리 의원, 의회의 독립적인 조사가 필요합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디모인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5/16/SSI_20170516183402_O2.jpg)
디모인 AP 연합뉴스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시 소재 척 그래즐리 연방 상원의원 사무실 인근 건물 위에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 그림과 함께 러시아 유착설에 대한 조사를 촉구하는 광고가 게시돼 있다. 광고에는 “그래즐리 의원, 의회의 독립적인 조사가 필요합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디모인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5/16/SSI_20170516183402.jpg)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시 소재 척 그래즐리 연방 상원의원 사무실 인근 건물 위에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얼굴 그림과 함께 러시아 유착설에 대한 조사를 촉구하는 광고가 게시돼 있다. 광고에는 “그래즐리 의원, 의회의 독립적인 조사가 필요합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디모인 AP 연합뉴스
디모인 AP 연합뉴스
워싱턴포스트 등은 15일(현지시간) 전·현직 관리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1일 백악관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세르게이 키슬랴크 주미 러시아 대사를 만난 자리에서 IS 관련 기밀정보를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과 IS 관련 문제를 논의하던 중 정보를 누설했으며 정보의 출처는 미국과 정보공유협정을 맺은 중동국가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정보가 너무나 민감해 미국 정부 내에서도 보안을 철저히 유지하는 정보라면서 기밀정보 유출로 IS 내부 사정에 접근이 가능한 동맹과의 협력이 위험에 처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한 관리는 “이 정보는 암호화된 정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과 공유하는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러시아 대사에게 유출했다”고 언급했다.
일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라브로프 장관에게 미국과 자신의 정보력을 ‘자랑’하다가 ‘선’을 넘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한 명의 핵심 협력자의 첩보 능력 덕분에 미국은 특별한 IS 테러 음모의 정보를 입수했고 그 정보는 IS가 장악하고 있는 지역에서 알아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은 정보의 출처가 중동 동맹국이라는 것과 어떻게 정보가 수집됐는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믿을지 모르지만 러시아는 IS의 음모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해 그 정보의 출처와 취득 방법까지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정보당국 고위 관리는 “모든 것이 충격적”이라면서 “매우 신중하지 못한 것 같고 (기밀) 정보와 국가안보 등 그가 다루고 있는 일의 중대성을 파악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기밀 유출 의혹을 강력히 비판했다. 상원 정보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마크 워너 의원은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기밀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사실이라면 미 정보당국의 뺨을 때린 것”이라면서 “소스와 수단을 위험에 빠뜨리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백악관은 적극 진화에 나섰다.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내가 당시 그 방에 있었는데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면서 “정보원이나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지 않았으며 대통령은 이미 공개적으로 진행 중인 것 외에 그 어떤 군사작전에 대해서도 폭로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도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외무장관·대사와 함께 ‘광범위한 주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논란의 또 다른 축인 미국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관련 보도에 “대사관은 이 문제에 논평하지 않는다”며 논평을 거부했다고 인테르팍스통신이 전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5-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