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英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 北정권이 배후”

美·英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 北정권이 배후”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7-12-20 22:22
업데이트 2017-12-2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해커 관여 증거 확보” 공식화

북핵 이어 사이버테러 대응 의지
일각 “비트코인 차익 얻으려 조작”
유엔, 13년 연속 ‘北인권 결의안’
‘北 = 범죄정권’ 규정 압박 거세져

미국과 영국 정부가 지난 5월 전 세계 병원·은행·기업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WannaCry)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다. 유엔총회는 북한인권결의안을 13년째 채택하는 등 서방 세계를 중심으로 북한을 ‘범죄 정권’으로 규정하려는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토머스 보서트(왼쪽)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이 지난 5월 전 세계 병원과 은행, 기업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의 배후가 북한이라고 발표하고 있다. 그동안 이 공격의 배후로 북한이 거론돼 왔지만 미 정부가 이를 공식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른쪽은 지나테 맨프라 미 국토안보부 부차관. 워싱턴 로이터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토머스 보서트(왼쪽)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이 지난 5월 전 세계 병원과 은행, 기업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의 배후가 북한이라고 발표하고 있다. 그동안 이 공격의 배후로 북한이 거론돼 왔지만 미 정부가 이를 공식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른쪽은 지나테 맨프라 미 국토안보부 부차관.
워싱턴 로이터 연합뉴스
토머스 보서트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19일(현지시간) 백악관 정례 브리핑을 통해 “면밀한 조사를 거친 결과 5월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이 북한 정권의 지시로 이뤄졌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보서트 보좌관은 “북한 정부와 연계된 사이버 기업들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영국·호주·캐나다·일본 등 국가들도 북한이 배후에 있다는 결론에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나자르 아흐메드 영국 외교부 차관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국제 사회의 제재를 회피하기 위해 사이버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북한 해커들이 이번 공격에 관여했다”고 밝혔다. 영국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워너크라이 공격의 배후를 공개 지목하기로 한 결정은 영국과 동맹국들이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인내하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새 ‘국가안보전략’이 공개된 바로 다음날 이뤄져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더해 사이버 테러에도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다.

지난 5월 12일 세계 150여개국에서 23만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워너크라이는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악성코드의 일종)다. 워너크라이는 당시 데이터 암호화를 풀어 주는 대가로 비트코인을 요구했다.

보서트 보좌관은 경제 제재로 돈줄이 막힌 북한이 워너크라이 해킹으로 자금을 확보하려 했다는 일각의 분석에 대해 “돈이 주요 목적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돈을 많이 벌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워너크라이의 전파 속도는 빨랐지만 영국에서 감염을 저지할 수 있는 ‘킬 스위치’(작동중지 기능)를 찾아내 확산이 주춤했다.

한편에서는 북한이 주가 조작처럼 비트코인 시세를 조작해 이득을 보려고 워너크라이 공격을 감행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워너크라이는 초반 300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요구했고 사흘 내 지불하지 않으면 요구액을 600달러로 올렸다. 전 세계에 비트코인을 요구해 짧은 시간에 수요를 늘리는 방법으로 가격에 영향을 주려 했다는 것이다.

한편 유엔총회는 이날 뉴욕의 유엔 본부에서 일본과 유럽연합(EU)이 함께 작성하고 61개국이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한 북한 인권결의안을 채택했다. 어느 회원국도 표결을 요청하지 않이 표결 없이 컨센서스(전원 합의)로 진행됐다. 유엔의 북한 인권결의안 채택은 2005년 이후 13년째다.

결의안은 북한이 고문, 공개처형, 자의적 구금, 정치범수용소 운영 등 인권 유린을 지속하고 있는 데 심각한 우려를 표시하고 남북이산가족 상봉을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7-12-21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