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참전 美재향군인 추모 박물관 오하이주에 개관

6·25 참전 美재향군인 추모 박물관 오하이주에 개관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8-10-28 17:58
업데이트 2018-10-29 09: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공군 영웅 글렌 전 상의의원 제안

“이곳은 전쟁 관련 박물관이지만 유서 깊은 성조기 원본이나 큰 전차, 전투기 같은 것을 보러오는 곳이 아닙니다. 재향군인 개개인의 진실한 이야기를 듣고 보는 장소입니다.”
이미지 확대
재향군인 추모 박물관. 콜럼버스 AP 연합뉴스
재향군인 추모 박물관.
콜럼버스 AP 연합뉴스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시에 8200만 달러를 들여 설립된 미국의 첫 재향군인 추모 박물관이 27일(현지시간) 개관했다. 박물관 측은 AP통신에 “전시된 작품들은 재향군인들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보조 수단일 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에는 수많은 전쟁기념관과 군사박물관이 있지만 재향군인들의 삶과 군 생활, 복무 이후 등을 조명한 박물관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물관 건립은 오하이오주 출신의 공군 영웅이자 최고령 우주비행사인 존 글렌(2016년 별세) 전 상원의원이 2012년 아이디어를 낸 게 발단이었다. 2차 세계대전과 6·25전쟁에 참전한 글렌 전 의원 등 미군의 ‘보통 사람들’ 이야기를 통해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의 삶을 조명해 보자는 취지였다. 미 연방의회가 큰 관심을 보이면서 지난 6월 이 박물관은 국가 재향군인을 추모하는 국립박물관으로 승격됐다.

4924㎡(약 1490평) 규모의 박물관에는 그동안 미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군인들의 전투와 삶의 경험이 수많은 깃발과 메달들이 장식된 벽면과 진열대를 통해 전시됐다. 박물관 측은 가슴 아픈 전사 통지부터 군인 가족들의 사연, 군함을 탄 젊은 신병들의 모습, 각자의 러브스토리와 사연들을 담아냈다.

재향군인 추모 박물관 이사회의 명예고문을 맡은 콜린 파월 전 국무장관은 이날 개관식 연설을 통해 “재향군인들은 미국의 무지개와 같은 존재이며, 미국의 힘과 선의를 증명하는 존재들”이라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8-10-29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