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미국 동부와 동남아를 오가는 홍콩 캐세이패시픽 항공의 퍼스트와 비즈니스 클래스를 단독 137만원에 예약하는 데 성공한 여행 블로거 맥 재너트.
그런데 지난해 마지막날 트위터를 보고 깜짝 놀랐다. 다른 여행 블로거들이 홍콩 캐세이 패시픽 항공에서 8월에 보스턴을 떠나 홍콩으로 향하는 퍼스트 클래스와 베트남 하노이를 출발해 뉴욕으로 돌아오는 이코노미 클래스를 아주 싸게 판다고 알려준 것이었다.
웬떡이냐 싶어 득달같이 키보드를 두들겨 예약을 할 수 있었다. 원래 7~9월 이 구간의 해당 좌석 탑승권은 각각 1만 8000달러(약 2026만원)와 1만 6000달러(약 1802만원)로 책정돼 있는데 재너트는 꿈에 그리던 왕복 비행을 단돈 1220달러(약 137만원)에 예약할 수 있었다.
캐세이패시픽 항공은 뒤늦게 실수를 알아채고 가격을 바로잡았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재너트의 예약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히는 배포를 드러냈다. 그는 “어림짐작으로도 약 95% 정도 디스카운트를 받은 셈”이라며 “평생 한 번 있을 기회라 붙잡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항공사가 실수로 예약된 탑승권을 인정한다고 하니 적이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항공사는 얼마나 많은 탑승권이 이런 식으로 잘못 팔렸는지 알려달라는 영국 BBC의 주문에 답을 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3월에 2년 연속 적자 수익을 보고했던 이 항공사의 험난했던 2018년이 이렇게 슬프게 마무리됐다. 그렇잖아도 홍콩과 본토, 동남아시아 하늘에 도전장을 내민 중국 저가항공사들과 경쟁하느라 힘겨워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940만명의 승객 개인 정보가 유출될 위험에 처한 상황이 폭로돼 곤욕을 치렀다. 같은 해 9월에는 여객기 옆면에 붙여지는 항공사 로고가 “Cathay Paciic”으로 철자 ‘f’가 빠진 채 계류장에 들어갔다가 승객들이 잘못을 지적하는 바람에 망신살이 뻗쳤다.
통상 항공사들은 실수로 발권된 탑승권을 인정하지만 항공사마다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항공도 지난 2014년 정상가의 절반도 안 되는 가격에 팔린 탑승권을 그대로 인정했다. 반면 이듬해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은 100달러도 안 되는 가격에 팔린 대서양 횡단 노선 탑승권을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실수” 탓이라며 취소해 버렸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