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30일 판문점에서 만났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통신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것으로, 미국 대통령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악수하는 모습. 2019.7.1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01/SSI_20190701102328_O2.jpg)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30일 판문점에서 만났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통신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것으로, 미국 대통령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악수하는 모습. 2019.7.1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01/SSI_20190701102328.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30일 판문점에서 만났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통신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것으로, 미국 대통령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악수하는 모습. 2019.7.1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이 가쁜 숨을 내쉬는 등 건강이 좋지 않아 보였고, 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행복한 표정이었다고 칼슨은 전했다. 또 두 정상의 관계가 동년배라기보다는 형님과 아우 사이에 가까웠다고 칼슨은 말했다.
시사평론가인 칼슨은 1일(현지시간) 폭스뉴스의 ‘폭스 앤드 프렌즈’ 프로그램을 통해 회동 당시 상황은 물론 두 정상의 표정과 인상 등을 묘사했다.
그는 “나는 김 위원장 바로 옆에 있었다. 그를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웠다”면서 “그는 강인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건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떠올렸다.
칼슨은 또 가까이서 지켜본 김 위원장이 현재 건강이 매우 좋지 않다고 느꼈다는 점도 소개했다.
![군사분계선 넘는 북미 정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01/SSI_20190701080646_O2.jpg)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군사분계선 넘는 북미 정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01/SSI_20190701080646.jpg)
군사분계선 넘는 북미 정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오후 판문점에서 군사분계선을 넘고 있다. 2019.7.1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그는 이어 “내가 틀렸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사람의 건강 상태가 매우 나쁘다는 것이 내 머릿속에 떠오른 첫 번째 생각이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내가 본 것 중 가장 행복한 표정이었다”면서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고 아마도 그가 아니었다면, 그의 매우 독특한 사고·통치 방식이 아니었다면 이뤄지지 못했을 일이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판문점서 악수하는 북미 정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01/SSI_20190701080618_O2.jpg)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판문점서 악수하는 북미 정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01/SSI_20190701080618.jpg)
판문점서 악수하는 북미 정상
30일 오후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악수하고 있다. 2019.7.1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폭스뉴스는 칼슨과 트럼프 대통령의 단독 인터뷰를 미국 현지시간으로 1일 오후 8시 방송한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