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 소유의 턴베리 골프장에 들러 2박 3일 골프 여행을 즐겼을 때 근처 프레스트윅 공항 계류장에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이 포착됐다. AFP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02123_O2.jpg)
AFP 자료사진
![지난해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 소유의 턴베리 골프장에 들러 2박 3일 골프 여행을 즐겼을 때 근처 프레스트윅 공항 계류장에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이 포착됐다. AFP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02123.jpg)
지난해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 소유의 턴베리 골프장에 들러 2박 3일 골프 여행을 즐겼을 때 근처 프레스트윅 공항 계류장에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이 포착됐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하원 감독 및 개혁위원회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빚에 쪼들려 폐쇄 위기에 몰린 이 공항에 지원하는 돈이 “실질적으로 늘어났다”고 보고 조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공항은 전적으로 트럼프 골프장을 위한 것으로 보이며 밑빠진 독에 물붓기란 말들이 많았다.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와 여러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병참청(DLA) 기록은 미군이 2017년 10월부터 이 공항에서 629차례나 유류 구입 주문을 넣어 1100만 달러(약 131억 4000만원)를 지출한 것으로 돼 있다. 그 대가로 미군 병사들은 골프클럽 객실 할인을 받거나 공짜 라운딩을 즐긴 것으로 의심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원 감독 및 개혁위원회는 지난 6월 국방부에 관련 자료를 제출해 달라고 요구하는 편지를 띄웠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엘리야 커밍스(민주당) 위원장 명의로 당시 국방장관 대행 패트릭 새너헌 앞으로 보내진 편지는 국방부와 트럼프 턴베리가 주고받은 통신 내역과 함께 관련된 재정 기록들을 요구했다. 하지만 국방부는 아직까지 응하지 않고 있으며 이런 요구를 받은 사실조차 공표하지 않았으며 트럼프 측도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0221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0221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0225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8/SSI_20190908102251.jpg)
글래스고 남쪽의 프레스트윅 공항은 트럼프 턴베리 골프장으로부터 북쪽으로 30㎞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스코틀랜드 정부가 2013년 단돈 1파운드에 사들여 폐쇄 위기를 막았다. 지난 6월 매물로 내놓았는데 원매자가 나서지 않았다. 빚이 잔뜩 늘어나 공항 측은 영업 허가를 경신하지 않으려 했던 것으로 보도됐다. 턴베리 골프장이 세금 환급을 받자 2017년 스코틀랜드 정부에 후폭풍이 덮쳤다. 같은 해 말 정부는 법 해석을 번복해 없던 일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영국을 방문했을 때도 이곳에서 2박 3일 골프 여행을 즐기고 국무부에 23만달러(약 2억 8000만원)가 넘는 비용을 청구해 빈축을 샀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