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육류부족 사태…돼지고기값 폭등 조짐

코로나發 육류부족 사태…돼지고기값 폭등 조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4-27 20:24
업데이트 2020-04-27 2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정육코너에 돼지고기가 진열돼 있다. (기사 내용과는 관계없음) 서울신문 DB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정육코너에 돼지고기가 진열돼 있다. (기사 내용과는 관계없음)
서울신문 DB
글로벌 육가공 업체들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잇따라 문을 닫는 바람에 육류 공급 부족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육가공 공장의 경우 어깨를 맞대고 작업할 정도로 공간이 협소한 데다 직원 상당수가 밀집된 주거 환경에 기거하는 이민자들이어서 지역 감염률을 높였다는 지적이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최대의 육가공업체인 타이슨푸드를 비롯해 10여곳의 육가공 업체들은 코로나19 확진자 대규모 발생에 이달 들어 공장을 줄줄이 폐쇄했다. 타이슨푸드의 아이오와주 워털루와 인디애나주 로건스포트 돼지고기 공장이 지난 22일 종업원 수백 명이 코로나19 확진 통보를 받음에 따라 공장 문을 닫았고 23일에는 워싱턴주 소고기 공장도 잠정 폐쇄됐다. 확진자 수가 500명이 넘는 세계 1위 돼지고기 생산업체 스미스필드 푸즈도 사우스다코타주 돼지고기 공장 가동을 무기한 중단한 데 이어 24일 미 일리노이주 공장도 문을 닫았다. 앞서 호멜 푸즈는 미네소타주 칠면조 공장을 닫았고, 내셔널 비프 패킹, 카킬 등도 아이오와주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육류가공 작업을 중단했다.

특히 세계 1위 닭고기·소고기 수출국인 브라질에서도 최대 육가공 업체인 JBS SA가 운영하는 육가공 공장이 폐쇄됐고 캐나다에서도 브리티시 컬럼비아 가금류 공장이 멈춰 섰다.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 3개국은 전 세계 고기 유통의 65%를 차지한다.

지난주 미국의 소고기 생산량은 지난달보다 24%, 돼지고기는 20%, 닭고기는 10% 각각 감소했다. 고기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돼지고기는 1주 새 29%나 올랐다. 2012년 이후 최고 상승 폭이다. 미 덴버 소재 컨설팅회사 글로벌 애그리트렌즈의 브렛 스튜어트 회장은 “완전히 전례 없는 일”이라며 “생산자는 모든 걸 잃고, 소비자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며, 식당들은 소고기 공급이 달리는 등 모두 패자가 되는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