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년 해로한 부부 코로나19 감염돼 손 잡고 48분 간격 운명

53년 해로한 부부 코로나19 감염돼 손 잡고 48분 간격 운명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7-03 09:19
업데이트 2020-07-03 09: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3년 결혼 생활을 누리다 코로나19에 감염돼 입원한 지 각각 일주일과 열흘 만인 지난달 18일 마지막으로 손을 잡은 채 48분 간격으로 세상을 떠난 커티스와 베티 타플리 부부. 아들 팀 제공 CBS 뉴스 홈페이지 캡처
53년 결혼 생활을 누리다 코로나19에 감염돼 입원한 지 각각 일주일과 열흘 만인 지난달 18일 마지막으로 손을 잡은 채 48분 간격으로 세상을 떠난 커티스와 베티 타플리 부부.
아들 팀 제공
CBS 뉴스 홈페이지 캡처
53년 결혼생활을 이어 온 미국 텍사스주의 부부가 코로나19에 감염돼 한 병원에 나란히 입원, 눈을 감기 전 손을 꼭 잡은 채 한 시간도 안되는 간격으로 세상을 떠났다.

아들 팀이 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CBS 뉴스에 털어놓은 베티(80)와 커티스 타플리(79) 부부의 사연은 애달프기만 하다. 베티가 세상을 떠난 시간은 지난달 18일 오전 11시 5분, 커티스가 눈을 감은 시간은 오전 11시 53분이다.

영화 줄거리가 될 만하다. 두 사람은 원래 일리노이주의 학교를 함께 다녔다. 같은 서클에 들긴 했지만 그때는 데이트 같은 것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 몇년 뒤 캘리포니아주에서 우연히 마주쳤다. 사귀게 된 둘은 고향 일리노이로 돌아가 결혼해 두 자녀에 다섯 손주, 네 명의 증손주까지 봤다. 함께 모험을 즐겼고 손을 꼭 잡고 해외여행을 다녔다. 어머니는 어르신 여행 클럽을 운영할 정도였다.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아프리카 등을 여행했다.

팀은 부모 가운데 어느 쪽이 먼저 감염됐는지 확실히 알지 못한다고 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아버지는 일절 바깥 출입을 하지 않았고, 어머니는 외출할 때 반드시 마스크를 썼단다. 어머니가 몸이 안 좋다고 하자 포트워스에 있는 텍사스 헬스 해리스 감리병원으로 모신 것이 지난달 9일이었다. 아버지는 사흘 뒤 아프기 시작해 같은 병원에 입원했다. 팬데믹 상황에 아버지를 입원시키는 것이 옳은지 걱정을 많이 했다고 팀은 털어놓았다.

“아버지에게 설명 드렸어요. 당신 손발이 되줄 누군가가 기다리는 상황은 아닐 것이라고요. 의료진도 엄청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 그들의 유일한 목표는 당신을 살아계시게 하는 일이다. 그러니 몇시간이고 병실에 혼자 앉아 누군가 당신을 보러 오길 기다릴 수도 있다고요.”

감염 위험을 막는다며 면회도 금지됐다. “세상에 가장 슬픈 일 중의 하나가 당신 부모님을 곤경에 밀어넣고 그저 문 건너로 지켜보는 일이더군요.”
불과 3년 전에 결혼 50주년을 기념해 부부가 만든 사진패. 둘은 일리노이주 학교에서 처음 만났는데 몇년 뒤 캘리포니아주에서 우연히 마주쳐 사랑을 이어가 결혼했다. 그리고 지난달 18일 마지막으로 나란히 손을 잡은 채 48분 간격으로 세상을 떠났다. 팀 타플리 제공 CBS 뉴스 홈페이지 캡처
불과 3년 전에 결혼 50주년을 기념해 부부가 만든 사진패. 둘은 일리노이주 학교에서 처음 만났는데 몇년 뒤 캘리포니아주에서 우연히 마주쳐 사랑을 이어가 결혼했다. 그리고 지난달 18일 마지막으로 나란히 손을 잡은 채 48분 간격으로 세상을 떠났다.
팀 타플리 제공
CBS 뉴스 홈페이지 캡처
입원한 지 일주일 남짓 됐는데 어머니가 가망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어머니가 그러시더군요. ‘됐다. 갈 준비가 됐고 어디로 갈지 알겠구나. 모든 게 괜찮아’라고요. 평화롭게 눈 감으셨어요. 병원 직원들이 가족 모두 어머니를 뵙게 해주더군요. 물론 모두 개인보호장구(PPE)를 입고서요.

직원들은 아버지도 뵙게 해줬어요. 휠체어를 손수 밀어 오시더군요. 뒤에는 모든 직원들을 거느리시고요.

병원은 두 차례 어머니를 뵙게 해줬어요. 아마 최악의 상황이라고 판단했던 것 같아요. 어머니는 아버지가 곁에 계시는 것을 알고 계시더군요. 저희가 주위에 죽 늘어서 임종하는데 저번에 저희가 어머니 뵌 것을 기억하지 못했어요.”

그날 가족들은 아버지 커티스도 다시 볼 수 있었다. 서서히 더 안 좋아지는 것 같았다. 휠체어를 끌고 복도로 나오지도 못했다. 그게 마지막이었다. 나중에 들으니 블레이크란 집중치료실 간호사가 어머니 베티의 병상을 끌고 아버지 병실로 가 두 분이 손을 잡게 해줬고, 그리고 얼마 안돼 세상을 떠나셨다고 했다.

팀은 “일종의 좋은 결말 같다. 눈물이 엄청 나올 얘기지만 두 분이 동시에 가셨으니 그것도 좋은 일이다. 누군가 남아 상대의 난 자리를 안타까워 할 일도 없고, 두 분 모두 갈 준비가 돼 있으셨다. 바라건대 우리 가족 일로 다른 모두가 사랑하는 이가 곁에 있음을 감사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우리 모두 부모가 된다. 우리는 늘 내일의 해는 떠오르고 모든 일이 잘 되겠지 생각한다. 하지만 꼭 그렇진 않는다. 앞날은 정말 모른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