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대는 약탈자’ 규정한 트럼프
주지사 만류에도 커노샤 방문 추진
극우 백인·시위대 모두 자극 우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커노샤에) 국가 방위군을 파견했고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투입) 몇 분 만에 모두 안전해졌다”고 언급한 뒤 다음달 1일 커노샤 방문 일정을 알렸다.
이에 민주당 소속 토니 에버스 위스콘신주 주지사는 “당신의 방문이 우리의 치유를 방해하고, 분열을 극복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지연시킬까 우려스럽다”며 공개서한으로 방문 재검토를 촉구했다.
하지만 저드 디어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날 밤 “트럼프 대통령은 화요일(9월 1일)에 방문해 이 위대한 도시(커노샤)가 치유되고 재건되도록 돕기를 고대한다”며 방문 일정을 재확인했다. 방문 목적으로 폭동 피해 및 법 집행 상황 점검, 피해 기업 지원 등을 들었다. 블레이크 및 가족을 만날지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극우 성향의 백인들이 총기를 들고 시위 현장을 활보하면서 우려가 큰 상황이다. 지난 25일 10대 청소년까지 커노샤 시위대에 총기를 발사해 2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고, 29일 플로리다 탤러해시에서도 백인이 권총을 들고 흑인 시위대를 위협하는 동영상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확산하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같은 날 포틀랜드 시위 현장에서는 극우단체 소속 백인이 총을 맞고 사망하는 등 위태로운 상황들이 이어지고 있다. 구체적인 사건 경위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 “그의 이름은 제이 비숍이다.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고 경찰을 지지한 좋은 미국인이었다. 그는 포틀랜드에서 안티파(반파시스트)에 의해 숨졌다”고 밝히며 정쟁의 소재로 삼아 비난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커노샤 방문은 2016년 대선 때 44년 만에 처음으로 공화당이 깃발을 꽂은 경합주 위스콘신주의 지지세 결집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리얼클리어폴리틱스에 따르면 30일 위스콘신 지지율에서 조 바이든(48%) 후보가 트럼프(44.5%) 대통령을 불과 3.5% 포인트 앞서고 있다. 지난 6월 8일 이후 가장 근소한 격차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0-09-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